즉석조리식품 시장 3년새 급성장

농식품부, 가공식품 시장 현황 분석

  
1인 가구 증가 등으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즉석조리식품이 2008년부터 3년간 생산액이 2배로 급성장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는 식품산업 통계·정보 사업의 일환으로 즉석조리식품, 조미료, 양념장, 식염 시장 현황을 담은 ‘가공식품 세분시장 현황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1인 가구 증가 등 사회환경 변화에 따라 새로운 틈새시장으로 주목받고 있는 즉석조리식품의 생산액은 지난 2008년 1932억 원에서 2011년 3642억 원으로 3년 사이에 약 2배 증가하는 등 시장이 급성장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향후 1인 가구 지속 확대 전망과 이웃인 일본의 레토르트 식품 소비 수준(1인당 월 0.9개(‘10년 기준), 우리는 1인당 0.11개(’12))을 감안할 때 즉석조리식품 수요는 계속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즉석조리식품은 생산단계에서 가공 후 단순가열 등의 조리과정을 거쳐 섭취할 수 있는 식품으로 국, 탕, 스프 등의 제품이며 보관방법에 따라 레토르트, 냉동식품 등으로 불린다.

최근에는 관련 제품이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로 곰탕, 잡채 등 가정에서 만들기 어렵거나, 번거롭고 보관이 어려운 음식 등이 새로운 아이템으로 부각되고 있다.

가정용 외에 외식업체와 단체급식소 등 B2B 시장에서도 완전조리 또는 반가공 형태의 제품 사용으로 조리시간을 단축, 일정한 맛 유지 등의 장점으로 제품의 수요가 계속 확대되고 있다.

국내 조미료 전체 시장 규모는 2012년 기준 가정용과 업소용을 포함해 약 6268억 원으로 추정되며, 이중 소매시장 규모는 1755억 원으로 조미료 시장의 약 30%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소매시장에서는 복합조미료(맛나, 다시다 등) 시장이 41.7%(731억 원), 자연조미료(맛선생, 원물산들애 등)시장이 30.2%(530억 원), 발효조미료(미원 등)시장이 28.1%(493억 원)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 주로 구입하는 조미료는 자연조미료(46.6%), 복합조미료(45.3%)가 대부분으로 발효조미료(6.1%)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는 글루탐산나트륨에 대한 부정적 인식 확산과 관계가 큰 것으로 보여진다.

특히 향후 지속 구입 의향 조사에서 자연조미료만 구입하겠다는 의견이 76.9%로 나타나 향후 조미료 시장에서 자연조미료가 차지하는 비중의 지속 확대가 예상된다.

조미료 업체는 이같은 소비트렌드에 맞춰 자연조미료 마케팅 및 제품개발 확대와 함께 글루탐산나트륨에 대한 선입견이 없는 해외에서의 현지화 전략으로 매출 확대에 더욱 주력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상의 경우, 인도네시아와 베트남 법인을 설립해 발효조미료인 ‘미원’을 판매하고 있는데 ’12년 기준 각각 1302억원, 684억원 매출을 기록하며 국내 판매실적인 684억원보다 186% 높은 실적을 보이고 있다.

소스류의 일종인 양념장의 판매시장 규모는 2012년 기준으로 944억 원으로 추정되며 소매유통 규모는 711억 원(전체 시장의 75%)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고기 양념장이 63.7%, 찌개 양념장이 31.1%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 2012년에 유럽 테스코 매장에 국내 양념장 제품이 입점되고, 현지 외식업체와의 연계도 적극 추진하는 등 민간과 정부의 해외시장 진출노력이 활발해 지고 있는 추세이다. 한식 양념장류는 한식 세계화와 우리 농식품 수출 확대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는 제품군으로 주목받고 있다.

식염 생산량은 2004년 이후 22~24만 톤 전후를 기록하며 큰 변화가 없는 반면, 생산액은 증가세를 나타내며 2011년 기준 967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2008년 이후부터 식염생산실적 통계에 천일염, 태움·용융 소금이 포함됐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천일염, 태움·용융소금의 생산량은 2011년도 생산실적 기준 전체 식염의 11.7% 정도를 차지하나 생산액 측면에서는 34.7%나 차지하는 등 부가가치가 높은 품목으로 분석됐다.

최근 나트륨이 성인병의 원인으로 지목되면서 저염식 바람이 불고 있지만 가정을 중심으로 천일염은 매년 꾸준히 판매가 증가하고 있다. 식품업계도 된장, 고추장, 조미김 등 기존의 제품과 함께 과자, 빵 등에 천일염 사용을 확대하고 있다.

다만, 2000년 이후 2010년까지 생산량 변동계수가 148.5%로 생산량의 연간 변동이 매우 큰 품목인 점은 천일염 시장의 불안정성으로 지적되고 있다.

* 태움․용융소금 : 암염․천일염 등 원료소금을 고온에서 원래의 형태를 변화시킨 소금(염화나트륨 함량 88% 이상)
  
  
  

이원식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