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한 상황에서 가장 심각한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것이 노인부양에 대한 문제이다. 노인의 대부분은 가족으로부터 부양받기를 원하고 가족 또한 노인 부양을 책임지려고 하지만 그로인한 스트레스와 부담감은 갈수록 심화되어 지고 있는 상황이다. 가족의 입장에서 바라보면 장기요양보호노인을 부양하는 것 자체만으로도 큰 부담으로 작용하면서 재정적인 부담과 더불어 가족간 갈등이 더욱 심화되고 있으며, 심지어는 가족의 해체위기 까지 되는 경우도 있다. 노인들이 갑자기 병에 걸리면 동네의원·병원·대학병원 같은 데서 치료를 받는다. 여기서 웬만한 급성기 질환 치료가 끝난 후 만성적 기능장애가 발생한 노인환자를 돌보는 기관인 노인요양병원으로, 다음 단계에는 요양시설(요양원)로 가는게 현실이다. 일반병원-요양병원-요양시설의 역할이 다르다. 비용도 일반병원이 가장 높고 요양병원, 요양원 순이다. 또한 요양병원에 가야 할 환자가 일반병원에 있고, 시설이나 집에 있을 사람이 일반병원이나 요양병원에 있는 경우도 있다. 아직 치료를 더 받아야 하는 상황인데도 경제적인 이유 때문에 요양원으로 가시는 가족들을 볼 때면 무척 안타까운 생각이 든다. 이러한 상황에서 향후 요양병원의 역할은 상당히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일부 요양병원이 치료를 위한 공간이 아니라 생활이나 요양하는 장소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향후 요양병원의 역할은 보건의료와 복지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통합시스템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이러한 보건복지 통합서비스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노인요양병원에 장기요양서비스를 위한 방문간호센터를 설치하여 지속적인 관리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노인장기요양보험 대상자에게 적합한 의료-요양서비스를 계획하고 관리하는 케어 매니지먼트 체계를 수립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장기요양보호 대상자 중 요양시설에 입소하여야 할 기준, 요양시설 입소자 중 요양병원으로 전원 해야 할 대상자의 기준, 요양보호 대상자 중 요양병원에 반드시 입원하여 치료를 받아야 할 대상자, 요양병원 입원환자 중 요양시설로 전원이 가능한 대상자의 기준에 대한 정부와 민간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요양병원이나 요양시설 중 적절한 서비스 기관을 선정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마련해야 하는 것도 시급할 것으로 본다. |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