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태우 고려수지침학회장 서금기감요법 발간

"대뇌의학의 결정체ㅡ최첨단 의학...서금기감요법..."
수지침 대신, "안전하고 효과 우수한 기감봉으로 자극"

서금기감요법은 수지침 대신, 안전하고 효과가 우수한 기감봉으로 자극하는 방법이다. 기감봉은 굵은 손잡이에 바늘 굵기의 철사를 부착시킨 것으로 피부를 찌르는 것이 아니라, 기감패드 위에만 꽃는 방법이다.   
▲ 서금기감요법은 수지침 대신, 안전하고 효과가 우수한 기감봉으로 자극하는 방법이다. 기감봉은 굵은 손잡이에 바늘 굵기의 철사를 부착시킨 것으로 피부를 찌르는 것이 아니라, 기감패드 위에만 꽃는 방법이다. 
  
고려수지침을 창시 개발한 유태우 회장이 이번에는 '서금기감요법강좌'를 저술 발간해 보건의료계에 화제가 되고 있다.

고려수지침은 1971~75년에 유태우 회장이 손에서 상응부위를 발견하고 이어서 14기 맥과 404혈을 발견한 이론으로, 여기에 가늘고 짧은 침인 수지침을 첫 개발해 손에 1~2미리미터 정도 자입, 질병을 낫게 하는 치료법이다.

■ 서금기감요법, 대뇌의학의 결정체-최첨단 의학

유태우 회장이 저술 발간한 서금기감요법은 수지침 대신, 안전하고 효과가 우수한 기감봉으로 자극을 해 누구나 혼자서 손에 자입함으로써 질병을 낫게 하는 최첨단 의학이다.

특히 기감봉은 유태우 회장이 세계 최초로 특허를 내 보건의료계에 신선한 충격을 던져주고 있다.

유태우 회장은 1978년부터 자석, 서암뜸, 기마크봉, 전자빔 등을 개발 수지침 바늘을 사용하지 않는 서금요법을 개발했다. 나아가 서금요법은 이밖에도 침봉, 압진봉, 반지요법 등이 개발돼 이를 적극 이용하고 있다.

이번 서금기감요법 저술 발간과 관련 유태우 회장은 "서금요법을 연구하면서 간접 자극인 염파요법을 연구 개발해 자신이나 타인이 질병이 있을 때 '손모형이나 손도판' 위에 서금요법의 원리를 적용했다"고 설명하면서 "이 때 모형이나 도판에 염파핀(기감봉)을 찔러서(환자의 몸-손에는 일체 자극하지 않음) 환자의 질병을 낫게 하는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유 회장의 이같은 서금요법은 약 30년의 역사와 풍부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 유태우 회장 서금요법, 30년 역사와 풍부한 경험 보유

서금기감요법(사진)은 서금요법의 원리를 따라서 손부위에 직접 수지침을 찌르는 것이 아니다.

다만, 자신이 새로운 기감봉을 고정시키고 기감봉 끝에 차단 장치가 되어 있는 기감패드를 손부위의 요철처에 붙이고 그 위에 기감봉이라는 도구를 꽃는 방법이다.

그러니까 기감봉은 굵은 손잡이에 바늘 굵기의 철사를 부착시킨 것으로 피부를 찌르는 것이 아니라, 기감패드 위에만 꽃는 방법이다.

서금기감요법과 관련 유태우 회장은 "대뇌에서는 서금요법의 이론인 상응부위와 14기맥, 404개의 기정혈을 인식하는 서금중추가 있다고 판단한다"면서 "손부위를 인식하는 운동중추, 지각중추에 이어 시각중추, 체감각중추와 서금요법 이론을 인식하는 서금중추는 대체적으로 시상하부나 뇌하수체 근방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 대뇌가 기감봉 인식...신체 전체 모든 기능 조절-질병 낫게 하는 방법

이와 관련 유 회장은 "대뇌는 기감봉을 인식하고 있을 때 기감봉으로 자극하면 시각중추와 체감각중추가 인식하고 이어 서금중추가 인식을 한다"며 "이 때 시상하부에서 자율신경 조절, 혈액순환 조절, 한열 조절, 뇌하수체 등의 신경전달 물질을 통해 신체 전체의 모든 기능을 조절 질병을 낫게 하는 방법"이라고 부연 설명했다.

나아가 유 회장은 "이처럼 서금기감요법은 대뇌의학의 결정체이며 최첨단 의학에 속한다"고 전제, "이 요법은 피부에 직접 기감봉을 찌르지 않고 패드 위에 꽃는 방법이어서 '통증-위험-부작용-후유증' 등이 전혀 없다"고 밝혔다.

따라서 유 회장은 "서금기감요법은 수지침이나 침술 효과를 능가하는 방법이면서 질병을 낫게 하는 반응은 수지침이나 침술보다 월등하다"고 설명했다.

■ 서금기감요법 침 재료, 중금속-인체에 유해...절대 손에 찌르면 안 돼(주의 당부)

특히 유 회장은 "침 채료는 스테인리스로 유해 중금속으로 인체에 찌르는 순간, 교감신경 긴장이나 항진반응이 나타나 일시적인 기분상으로 고통을 잊게 할 수 있다"면서도 "실질적으로는 질병을 악화시키고 있어 절대 몸(살)에 직접 놓지 말아야 한다"고 사용자의 주의를 당부했다.

그러나 유 회장은 "손 부위의 수지침은 교감신경을 억제하는 효과반응이 있다"고 말해 서금기감요법의 효능을 강조했다.

이처럼 '서금기감요법강좌' 책자에는 기감요법의 원리와 기감봉이 개발되기 까지의 과정과 서금요법의 이론과 기감봉의 사용법 나아가 처방들이 일목요연하게 서술돼 있다.

이제 아프고 위험한 침술의 시대는 지나고 우수하고 혁신적인 새로운 서금기감요법의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한편 고려수지침을 발전시킨 서금기감요법강좌는 ▲4X6배판 ▲약 380페이지 ▲유태우 고려수지침학회장 저술 ▲정가=5만원 ▲(주) 고려수지침 발행

김현호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