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왜 하필 이때...제약계 길들이기 아닌지?

제약업계, "대선정국-검찰...제약사만 잘못인가...의료계는?"
"혁신형 제약기업 선정취소 땐...제약산업 붕괴-신중해야!"

국내 굴지의 대형 제약사에 대한 검찰의 압수수색이 단행된 가운데 제약사에 대한 검찰-국세청(세무조사)의 조사가 예사롭지 않다. 특히 대선정국 하에 제약업계를 향한 사정기관의 칼이 유독 제약사를 향하고 있어   
▲ 국내 굴지의 대형 제약사에 대한 검찰의 압수수색이 단행된 가운데 제약사에 대한 검찰-국세청(세무조사)의 조사가 예사롭지 않다. 특히 대선정국 하에 제약업계를 향한 사정기관의 칼이 유독 제약사를 향하고 있어 "제약업계는 이러다가 제약산업이 붕괴될 우려가 크다"고 적잖게 우려하고 있다. 
  
◇...최근 검찰이 국내 굴지의 某 제약사에 대해 압수수색을 한 것을 놓고 보건의약계는 대선정국에 '제약업계 길들이기'가 아닌지 심히 의심스럽다는 주장이 나와 관심.

이와 관련 혁신형 제약기업의 한 고위 임원은 "역대 정권이 바뀔 때 마다 어김없이 검경-국세청 등 사정기관의 기업에 대한 사정활동이 그 어느 때 보다 드셌다"고 회고하면서도 "왜 하필 이 때 제약사를 향해 사정의 칼 날을 들이 미는 지 이해할 수가 없다"고 말하는 등 강한 의구심을 피력.

또 다른 혁신형 제약사 임원도 "털어서 먼지 안 나는 사람 없다는 속담도 있듯이 시기적으로 아닌 것 같은데 왜 이렇게 집요하게 제약사를 향해 조사를 하는 지 의문스럽다"고 전제, "리베이트 수수 및 제공 등의 건은 제약사 뿐 아니라 병의원 등 의료계도 여기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주장해 '특정업계 죽이기-길들이기'로 밖에 해석이 안 됨을 이같이 주장.

한편 복지부는 오는 11.15일 리베이트 제공과 관련, 비록 혁신형 제약사(43개 선정-15개 제약사 리베이트 제공 관련)로 선정됐다하더라도 이에 대한 취소기준을 발표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국세청은 2개 대형 의약품 도매업체와 검찰로부터 넘어온 제약사에 대한 세무조사를 실시할 방침이어서 제약산업은 '엎친데 덮친격'으로 '검찰-국세청' 등의 강력한 조사를 받게될 전망.

김현호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