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괄수가제-1의사 다병원, 의료계 뜨거운 감자

복지부, "환자부담 21% 감소-사무장 병원 법적 차단"
의료계, "의료 질 저하-단일화 가격, 동등 수준 진료"

'포괄수가제 시행-1의사 多(다)병원 운영 금지' 문제가 7~8월 불볕 더위 만큼이나, 복지당국과 의료계의 뜨거운 감자로 급부상 하고 있다.<사진은 수술장면으로 특정기사와는 전혀 관련이 없음.>   
▲ '포괄수가제 시행-1의사 多(다)병원 운영 금지' 문제가 7~8월 불볕 더위 만큼이나, 복지당국과 의료계의 뜨거운 감자로 급부상 하고 있다.<사진은 수술장면으로 특정기사와는 전혀 관련이 없음.> 
  
'포괄수가제-1의사 多병원 금지' 등을 놓고 복지당국과 의료계가 첨예한 대립각을 세우고 있어 이들 2대 사안이 대선정국 만큼이나 뜨거운 감자로 급부상 하고 있다.

포괄수가제는 복지부가 지난 7.1일부터 백내장 등 7개 질병군에 대해 포괄수가제(종전, 행위별 수가제)를 전격 시행하면서 환자부담을 21%나 줄이게 됐다. 그러나 의협은 이에 반발, 1주일간 수술거부 운동을 전개하려다 이를 철회(정몽준 의원(새누리당. 7선)의 중재로)한 바 있다.

이후 노환규 의협회장은 최근 국회 상임위 기재위에서 복지위로 재배정된 정몽준 새누리당 의원을 통해 불합리한 건보심위를 합리적으로 개선하도록 해 달라는 건의를 적극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노 회장이 당시 정 의원을 만나, 수술거부 철회 조건(?)으로 건정심 개선을 요구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포괄수가제는 외형상 차질 없이 시행되고 있으나, 의협이 정치권과의 물밑 대화를 추진하고 있어 언제 수면 위로 급부상 할지 알 수 가 없는 등 여전히 현재 진행형 이다.

이에 비해 '1의사 多병원 금지'의 경우 개정 의료법에 의해 의사 1인이 여러 개 병원을 운영하는 네트워크 병원' 운영이 당장 내달부터 본격 시행돼 이와 관련된 의료계가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이와 관련 네크워크병원협회측은 "정부가 추진해 온 의료산업화와 의료경쟁력을 악화시킬 뿐 아니라, 결국 국민 의료비 상승으로 이어진다"고 지적하는 등 정부의 졸속 개정이 아닐 수 없음을 주장하고 있다.

한편 복지부는 네트워크병원협회 측의 이같은 주장에 대해 무분별하게 운영돼 왔던, '사무장 병원'의 난립을 막고, 개정 의료법에 명시된 바와 같이 '1의료인 1개소' 원칙을 준수할 방침이다.

김현호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