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청은 14일 사전·사후피임약 분류안을 놓고 사회 각계 인사가 참여하는 공청회를 열었다. 이번 공청회에는 대한의사협회와 대한약사회 등 의약 관계자를 비롯해 여성계와 종교계, 소비자단체 등 각계 인사 12명이 참석해 피임약 재분류에 대한 토론을 벌였다. 먼저 사후응급피임약의 반대를 주장하는 천주교, 낙태반대운동연합, 대한산부인과학회, 진오비(진정으로 산부인과를 걱정하는 의사들의 모임) 등은 공청회 시작 전부터 '사후응급피임약의 일반약 전환'을 반대하는 피켓을 들고 반대의사를 피력했다. 또 각단체들은 공청회장에 모인 참석자들에게 사후응급피임약의 일반약 전환을 왜 반대하는지에 대한 유인물도 나눠주며, 반대의견을 강력히 전했다. '낙태하고 싶지 않다'는 강력한 주장을 발표한 산부인과학회는 "피임 진료를 제대로 하겠다"며 그동안 피임 진료에 대해 소홀했음을 인정하며 사전피임약과 사후피임약 모두의 전문약 전환을 주장했다. 천주교도 "사후응급피임약은 낙태약"이라며 "사후응급피임약의 일반약 전환은 위험한 일을 방치하자는 태도"라고 비판했다. 낙태반대운동연합 역시 "응급피임약 때문에 여성이 사회적 약자, 성적인 약자가 되서는 안된다"며 사후응급피임약의 일반약 전환을 반대했다. 그러나 경실련은 사전피임약의 전문약 전환을 반대하고 나섰다. 경실련은 "사후응급피임약의 일반약 재분류는 원치 않는 임신과 그로 인한 여성의 건강상의 위험을 줄이는 실천적인 방안을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환영한다"고 밝혔다. 식약청 이선희 의약품심사부장은 "이번 재분류안의 특징은 의약품 안전성과 유효성, 그리고 선진국 사례를 바탕으로 과학적 분류를 했다는 것"이라며 "식약청 스스로도 과학적 분류를 자신하고 있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사회적 논란이 많은 피임제 재분류도 이같은 과학적 분석을 토대로 했다는 주장이다. 이 부장은 "이번 공청회도 의견 수렴을 위한 과정"이라며 "각계 각층의 입장을 충분히 들어 의약품 재분류안을 확정하겠다. 식약청이 내린 과학적 분류에 문제가 있을 경우 많은 대안을 달라"고 말했다. 이번 공청회로 식약청은 의약품 재분류가 거의 확정됐다고 시사해, 앞으로 '피임약 재분류'에 대한 찬반 논란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
||||||
|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