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주도 임상시험의 위상 정립과 활성화 방안은'

국가임상시험사업단, 부산대병원 임상시험센터 주최

연구자주도 임상시험의 위상 정립과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국가임상시험사업단(단장 서울의대 신상구)는 부산대학교병원 임상시험센터(센터장 김해규)와 공동으로 지난 25일 해운대그랜드호텔에서 ‘연구자주도 임상연구의 수행과 관리’라는 주제로 워크숍을 개최했다.

150여 명의 임상시험센터 연구자 및 행정담당자들이 참석한 이번 행사는 2개 세션으로 나눠 진행됐으며, 세션1은 신상구 국가임상시험사업단장의 좌장으로 ▲연구자 주도형 연구의 지원현황과 성과(한국화이자 이신원) ▲연구자주도 연구의 규제방안-자율점검제(연세의대 김진석) ▲연구자주도 연구의 지적 재산권 문제(특허법인 이룸 이명진)의 강의가 있었고, 이어 세션 2는 삼성서울병원 김호중 임상시험센터장의 좌장으로 ▲연구기관의 IIT 지원 및 관리방안(부산대병원 박현준) ▲HRPP QA/QI versus CTC QA - what is QA? QC? and Quality Improvement(싱가폴제너럴병원/동아대병원 Dr.님천한)가 진행됐다.

연구자 주도 임상시험은 스폰서의 의뢰없이 연구자 스스로 진행하는 연구인만큼 좀더 다양하고 창조적인 임상연구가 진행되지만, 규모가 작고 상대적으로 덜 체계적으로 관리가 되는 단점을 보이고 있다.

이에 이번 워크숍에서는 연구자주도 임상시험의 위상 정립과 활성화를 위해 자체 질보증을 위한 QA/QC 활동의 활성화 방안이 토의됐고, 이를 위해 연구자들에 대한 꾸준한 교육은 물론 올해부터 식약청에서 시행하는 자율점검제 도입 등이 논의됐다.

홍유식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