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폰서-랜딩비, BMW 의사에게 제공 !"

복지부, 대표적 리베이트 단속사례 발표

랜딩비, 스폰서비, 후원금 등 대표적 리베이트 유형이 사라지지 않고 여전히 의약계에 상존하고 있어 여간 문제가 아니다. 더욱이 일반 서민은 평생 한 번 굴려보기도 어려운 BMW 등 고급승용차도 의사에게 제공한 사례는 빙산의 일각이다.

특히 복지부 등 범 정부가 나서서 의약품 리베이트 근절과 엄격한 단속을 실시했음에도 불구, 지난 2010년 리베이트 쌍벌제 시행 3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도 의약사들의 리베이트 수수행위와 일부 제약사의 리베이트 제공은 잔존하고 있다는 게 복지부의 판단이다.

최근 복지부가 밝힌 리베이트 유형 및 단속 사례에 따르면 랜딩비, 의약품채택비, 매칭비, 처방사례비, 스폰서비, 후원금 등 리베이트 유형의 대표적 사례가 비일비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대표적인 사례로 우선 '랜딩비' 즉, 의약품채택비는 제약사가 병-의원에 최초로 의약품 납품 시 채택료 명목으로 제공하는 금품으로 이는 기본적으로 행해지고 있다고 복지부는 밝혔다.

또한 '매칭비, 처방사례비'는 의약품을 납품하는 과정에서 자사제품 사용을 유지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금품 제공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 역시 제약사에서 영업사원에게 의사와 1년 동안 예상 처방액을 약정하게 하고, 예상 처방액의 20~25%를 선급금으로 의사에게 지급하는 사례가 적발됐다.

그런가 하면, '할인-할증' 수금할인, 매출할인, 할증 등의 리베이트 유형도 여전히 근절되지 않고 있다.

○ 수금할인 : 의약품 대금 지급 시 거래금액에서 일정금액을 할인하여 수금
○ 매출할인 : 의약품 공급자가 의약품 수요자로부터 받아야 할 외상매출금의 잔액을 할인
○ 할 증 : 고객 유인수단으로 보험의약품 거래에 부가해서 무상으로의약품을 추가 공급

특히 '스폰서비, 후원금' 등은 병원 신축비, 장학금, 의사-약사들의 국내외 학회-세미나-대회 등 각종 행사관련 비용을 지원하는 사례로 이번에 복지부가 대표적 리베이트 유형으로 밝힌 것이다.

한편 각종 금품 지원 제공 및 뇌물 공여 등 이해정도에 따라 시설, 비품, 가전품, 임대료, 현금, 상품권, 접대 등 원하는 방법으로 지원․제공하는 리베이트 유형도 적발돼 여전히 근절되지 않고 있다.

이같은 각종 금품지원 제공 등은 병의원 개설이나 이전 시, 체육대회, 야유회, 골프대회, 연말연시, 명절 등에 지원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김현호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