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치 운동은 고대 중국에서 널리 알려진 무술 형태로서 호주의 닥터 램이 처음 이 타이치 운동을 관절염 치료 운동으로 개발하기 시작했다. 이는 타이치 운동 중에서 썬 스타일 형태로서 느린 움직임과 빠르고 강함, 부드러움이 어우러지는 동작으로 총 열두 가지 동작으로 구성돼 있다. 이러한 관절염 환자의 적절한 운동량과 관련해 국내 연구진은 '타이치 운동'이 통증 감소와 관절이 굳는 것을 막는데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한양대학교 류마티스병원 배상철 교수팀(순천향대학교 간호대학 송라윤 교수,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이은옥 교수)은 한양대학교 류마티스병원에 내원하고 있는 퇴행성관절염 환자 72명을 대상으로 12주간 타이치 운동을 시행한 후 이같은 결과를 ‘관절염 환자를 위한 타이치 운동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라는 논문에서 구체적으로 증명했다. 2000년 12월부터 2001년 7월까지 진행된 이 연구는 관절통, 관절의 뻣뻣함, 일상생활활동, 신체적 기능에 있어서 타이치 운동을 한 그룹에서 하지 않은 그룹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의의 있게 통증이 감소하였거나 기능이 향상됐다. 뿐만 아니라 복부 근력과 신체의 균형 유지 기능도 운동을 한 그룹에서 아주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타이치 운동은 집에서 손쉽게 할 수 있어 수영보다 실용적이고 경제적인 운동이라는 것. 이와 관련해 배상철 교수는 “타이치 운동은 관절염 환자에게 좋을 뿐만 아니라 관절이 약한 환자가 생활화하면 관절염을 예방할 수도 있다"며 "결론적으로 이 운동은 퇴행성 관절염뿐만 아니라 류마티스관절염 등 다양한 관절염 환자의 운동 요법으로 유용하며 우리나라의 연구를 바탕으로 세계적으로 보급될 것"으로 기대했다. 타이치 운동을 하게 되면 혈중 엔돌핀이 증가돼 관절통을 감소시키고, 관절의 뻣뻣함과 관절이 굳는 것을 막고 주변의 근육을 강화시킨다. 또 심혈관기능을 향상시켜 피곤함을 해소하고 지구력을 증가시켜 환자의 정서상태도 안정시키는 등 관절염 환자를 위한 운동요법의 목적에 모두 만족시키는 운동이다. 이 연구결과는 지난해 11월 미국 류마티스학회에서 발표해 해외 언론의 주목을 받았으며 2002년 미국 류마티스학회가 이를 주제로 심포지엄을 요청해와 현재 준비중인 상태다. 배 교수는 “향후 이러한 타이치 운동은 대한건강전문학회 전문간호사들을 통해 주기적인 교육 프로그램으로 발전시킬 예정"이라며 "우선 시범적으로 본원에서 정기적으로 교육한 후 장차 전국적으로 교육기회를 확대시킬 예정”이라고 말했다. |
||||||
|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