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국감]"임 장관, 약가인하 추진 불가피"
"약가인하 산정방식, 특허만료 1년후 53.55% 수준 상한가 일괄인하"
임채민 복지부장관, "시장형 실거래가제, 1년간 적용 유예 방침 시사"
26일 보건복지부 국정감사회에서 임채민 보건복지부 장관은 주요업무보고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임 장관은 약가제도와 관련해 "구매력지수 기준으로 약가 수준이 선진 16개국 중 1위이며, 약품비는 건강보험지출의 29.3%(12조원)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며 "높은 약가 보장으로 R&D 등을 통한 품질경쟁보다는 손쉬운 리베이트를 통한 영업 관행이 만연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의약품비 거품을 제거, 국민의료비 부담을 줄이고 제약산업을 연구개발 중심으로 선진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
임 장관은 "일정규모 이상의 신약개발 R&D 투자실적, 글로벌 진출역량을 갖춘 제약기업을 혁신형 제약기업으로 선정해 집중적인 지원을 실시하겠다"며 "2015년까지 혁신형 제약기업 R&D 비율을 현행 5~10%에서 15%로 상향 조정하고 글로벌 신약개발 역량을 확충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
||||||
다만, 약사회 등과 대화하고 있으며 국회 의견을 존중하겠다고 밝혔다. 임 장관은 한나라당 이춘식 의원의 질의한 답변을 통해 "각계 의견을 수렴해 개정안을 만들고, 약사회 대표들과 만나 의견을 듣는 등 이해관계자들과 대화를 진행하고 있다"며 "국회의원들의 의견을 존중하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의약품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 판매장소(사전등록), 판매자(사전교육), 판매수량제한, 진열 및 표시기재, 판매연령제한 등의 대책을 병행하겠다"며 "법안 국회 통과시 구체적인 약국외 의약품 관리방안을 마련해 시행령 및 시행규칙 개정을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