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보건복지위원회 한나라당 유재중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2011년도 필수예방접종 보호자 만족도 조사결과를 분석한 결과, 이 사업에 대한 정책 만족도가 급감한 것으로 확인됐다. 먼저 '현재 국가에서 비용이 지원되는 병의원을 찾아가 예방접종을 받으면, 국가가 비용을 30% 지원해 준다는 사실을 알고 계시거나, 들어본 적이 있습니까?'에 대한 질문에서 47.9%만이 '알고있다'고 답변해 지난 2009년도 조사(60.2%가 '알고있다'고 답변)보다도 오히려 인지도가 더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필수예방접종비용 국가부담사업을 인지하고 있고 지원수준이 30%인 지역의 보호자들을 대상으로 '필수예방접종비용에 대한 국가지원에 대해 전박적으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에 대한 질문에서 만족한다는 답변은 22.5%에 불과했다. 전년도 대비 40.0%에 비해 2배 가까이 하락한 수치인 것. 필수예방접종에 대한 비원지원 수준에 대한 의견을 묻는 조사에서 현재 30% 수준에 만족한다는 답변은 2009년도 14.1%에서 2010년도 6.2%로 급감했다. 반면 늘려야 한다는 의견이 93.8%로 압도적이었으며, 100%전액 보장해야 한다는 의견이 절반(50.2%)을 차지했다. 유재중 의원은 "국민들은 이처럼 필수예방접종 지원수준 확대를 강력히 원하고 있지만, 보건당국은 배정된 예산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필수예방접종의 예산집행률은 2009년도 14.4%, 2010년도 19.4%, 2010년도 19.4%로 극히 저조한 실정, 올해 집행률도 8월말 현재 45.1%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유 의원은 "이러한 실태와 관련해 복지부는 본인부담 수준(30%)이 높아 집행실적이 저조한 것으로 해명하고 있다"며 "그러나 참여가 가장 저조한 가장 근복적인 이유는 제도를 적극적으로 알리지 못한 상황에서 정책수요도 제대로 추계하지 못한 탓이 가장 크다"고 질타했다. 그러면서 "저출산 대책의 핵심과제중 하나인 필수예방접종에 대한 만족도가 급감한 것은 저출산정책 전반의 정책체감도가 낮다는 의미로도 해석 가능하다"며 "앞으로 저출산 정책에 더 많은 예산이 필요한 상황인데, 필수예방접종과 같이 주어진 예산도 제대로 활용되지 못한다면 예산확보는 더욱 어려워질 수 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유 의원은 이어 "이번 조사결과에서 보듯이 국가지원율을 높여달라는 것이 국민 대다수의 요구인 만큼 필수예방접종에 대한 예산을 대폭 확대할 필요가 있다"면서 "자라나는 아이들에 대한 복지문제는 저출산문제 해법으로 인식하고 과감한 투자를 늘여야 하며, 영유아에 대한 보편적 의료복지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