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관협착증, '꼬리뼈 주사' 통증 완화

분당서울대병원, 모니터로 염증 부종 확인 시술 '안전'

  
척추관 협착증에 X-ray를 이용한 꼬리뼈 주사요법이 효과적이라는 임상 결과가 나왔다.

척추관 협착증은 척추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관이 좁아져 눌려진 신경에 염증이 생겨 통증을 일으키게 되는데 엉치에서부터 다리까지 통증이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척추센터 이준우 교수팀이 척추관 협착증으로 꼬리뼈 스테로이드 주사 치료 후 3년 이상이 경과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한 결과, 총 216명의 환자 중 185명(85.6%)이 치료 후 통증이 없거나 좋아졌다고 답했다.

효과가 지속된 기간별로는 57명(26.5%)이 재발하지 않았다고 응답해 가장 많았고, 32명(14.8%)이 3~6개월 동안 효과가 지속됐다고 답해 그 뒤를 이었다. 1년 이상 효과가 지속된 경우도 17명(7.9%)이나 있었다.

'투시하 미추 경막외 주사법'이라고 불리는 이 치료법은 전문가가 직접 X-ray를 이용해 환자의 염증 부위와 약물 투여지점을 모니터로 염증과 부종을 확인하면서 약물을 직접 주사해 안전하고 효과적이라는 연구팀의 설명이다.

시술 시간도 10분 정도로 얇은 바늘을 이용해 통증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 치료법은 척추관 협착증으로 인한 통증이 견디기 어려운 환자에서 수술을 고려하기에 앞서 시도해볼만한 방법으로, 이러한 주사 치료에서 증상 호전이 없을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다만 치료에 사용하는 스테로이드가 호르몬이라 자주 맞으면 호르몬의 균형이 깨지고 저항력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치료의 횟수를 6개월에 3회 이상을 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번 조사 결과에서는 216명 중 190명(88%)이 3년 동안 6회 이하의 시술을 받은 것으로 조사되어 대부분의 시술 환자가 연간 2회 이내의 치료로 효과를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준우 교수는 "이번 연구는 투시하 미추 경막외 주사법의 3년 이상 장기간 치료 효과를 객관적으로 검증한 것에 의의가 있다"며 "시술을받은 환자 10명 중 8명이 증상이 호전됐고, 이 중 2-3명은 3년 이상 치료효과가 있었기 때문에 척추관 협착증으로 고통 받는 환자들에게 권할만한 치료법"이라고 밝혔다.

'투시하 미추 경막외 주사법'은 현재 분당서울대병원, 서울대병원, 삼성서울병원, 서울 아산병원 등의 주요 대학병원 영상의학과와 척추전문병원 등 에서 시행하고 있으며, 이 연구는 근골격계 방사선학 전문저널인 ‘Skeletal Radiology’ 최근호에 게재됐다.

홍유식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