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 침, 치매 등 성인병 유발시켜”

유태우 고려수지침학회장, 파킨슨병 개선시킨다는 연구결과 정면 반박

‘한방 침(鍼)이 파킨슨병을 개선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단백질 기능 연구 분야의 국제학술지인 ‘프로테오믹스(Proteomics)’ 최근호에 게재됐으나 이 연구결과가 사실과 다르다는 견해가 제시됐다.

경희대 침구경락과학연구센터 이혜정‧박하준 교수팀은 파킨슨병에 걸린 쥐를 대상으로 침을 놓은 후 뇌 속 단백질 분석을 통해 침이 뇌신경 보호 단백질 생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했다고 11일 밝혔다.

이 교수는 “침을 맞으면 뇌 흑색 질 부위에서 ‘사이클로필린A가 도파민 분비 신경을 보호해서 파킨슨병이 악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밝혔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는 침의 단독치료가 뇌신경의 파괴를 지연시키거나 막는 현상을 알아본 것”이라면서 “기존 파킨슨병 치료제와의 병행 여부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파킨슨병은 뇌에서 흑색질이라고 불리는 부위의 신경세포가 파괴돼 이곳에서 분비되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이 고갈되면서 운동장애가 나타나고 결국 사망에 이르는 질환이다.

이와 관련, 고려수지침학회 유태우(동양의학박사) 회장은 이 연구결과를 정면으로 반박했다.

유 회장은 “도파민은 아드레날린 호르몬의 전구물질로 교감신경 말단에서 분비되는데 침을 놓게 되면 일시적으로 도파민이 많이 생성되지만, 이때 모세혈관이 수축돼 아드레날린이 많이 분비되면서 교감신경을 항진시킨다”며 “이는 결국 신체를 긴장시켜 신경과민을 일으킴으로써 치매 등의 성인병을 유발시킨다”고 지적했다.

유 회장은 이어 “침으로 신체에 자극을 주면 부교감신경과 미주신경이 즉시 저하돼 교감신경이 항진된다”며 “교감신경이 항진되는 과정에서 도파민, 아드레날린이 분비돼 약간의 진통효과로 가벼움을 느끼지만 교감신경의 긴장과 악화로 부교감신경 말단에서 분비되는 아세틸콜린을 억제시켜 대뇌외 전신의 모세혈관 수축으로 말미암아 치매증·고혈압·심장병·암·각종 퇴행성질환·당뇨 등을 유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노의근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