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다국적 기업 국내시장 장악

콘택트렌즈 시장현황 및 전망

콘택트렌즈(contact lens)가 국내에 도입된 지 어느덧 반세기가 흘렀다. 국내에서 생산하는 콘택트렌즈 제품은 품질이나 기술력으로 볼 때 세계 수준과 비교해 손색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국적 기업들의 브랜드 파워에 밀려 우리나라 콘택트렌즈 시장은 제품개발 역사에 비해 답보상태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 국민 중 시력교정을 필요로 하는 인구가 전체 절반이상을 차지하지만, 콘택트렌즈 착용인구는 약 20%정도에 그치고 있다. 그러나 신규 소비자 유입에 따른 시장 확대의 기회 및 성장 잠재력은 그 어느 나라보다 크다고 관계자들은 분석한다.

매년 10%씩의 빠른 성장을 보이고 있는 콘택트렌즈 시장의 현황과 업계 마케팅 전략 등을 토대로 향후 콘택트렌즈 시장의 발전 가능성을 짚어본다.

시장현황
우리나라 콘택트렌즈의 지난 2006년 생산액은 하드 렌즈가 82억 5434만원, 소프트렌즈는 311억 8243만원으로 전체 의료기기 생산액의 2%에 불과했으나, 지난 2004년부터 3년간 연평균 성장률은 21%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수출 역시 생산과 마찬가지로 전체 의료기기 수출의 2.3%를 차지했으나, 동기간 동안의 연평균 성장률은 56.5%로 급속한 수출 확대를 보이고 있다.

지난 2006년 수출은 하드렌즈가 2만3377달러, 소프트렌즈가 1884만 6064달러를 기록했고, 수입의 경우 하드렌즈가 235만7473달러, 소프트렌즈는 3222만1344달러를 보여 수입이 수출보다 훨씬 더 많았고, 전체적으로 하드보다는 소프트렌즈가 더 많았다. 〈표 참조〉
  
업계 현황
하드콘택트렌즈 제조사로는 루시드코리아, 시리스케이, 해피비젼, 새한콘택트렌즈이며, 소프트제조사로는 베스콘, 뉴바이오, 미광콘택트렌즈, 지앤지콘택트렌즈, 네오비전 등이다.

소프트콘택트렌즈 수출업체로는 미광콘택트렌즈, 뉴바이오가 있으며, 베스콘사와 인터조로는 하드 및 소프트렌즈를 수출하고 있다.

하드렌즈 수입업체로는 씨엔비코퍼레이션, 우전메디칼이며, 소프트렌즈 수입업체로는 쿠퍼비젼코리아, 한국시바비젼, 한국존슨앤드존슨비젼케어 등이다. 이밖에 바슈롬코리아는 하드 및 소프트렌즈를 수입하고 있다.

국내 콘택트렌즈 시장은 존슨앤드존슨, 바슈롬, 시바비젼, 쿠퍼비젼 등 4대 다국적 기업이 전체 시장의 60%이상을 점유하고 있으며, 인터로조, 베스콘, 미광, 하나광학 등 국내 제조사들이 나머지 시장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 국내 콘택트렌즈 시장은 데일리 상품을 중심으로 정기착용(일일착용, 2주착용)렌즈가 차지하는 비중은 40% 정도로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생활수준의 향상과 웰빙 바람을 타고 양질의 콘택트렌즈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업체별 마케팅전략
고객 니즈에 맞는 하루용 렌즈를 선보이고 있는 바슈롬코리아(대표 모진)는 선명한 시야를 제공하는 첨단 광학 설계로 렌즈의 건조를 막아 습윤성을 증가시켜주는 모이스춰라이징 기술을 통해 장시간 건조한 상태를 막아준다고 한다.

특히 난시용, 노안용 렌즈 및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까지 다양한 제품 품목군의 판매를 통해 제품력으로 승부수를 띄우고 있다고 관계자는 설명한다.

한국존슨앤드존슨비젼케어(대표 정병헌)의 경우 한국 소비자들의 요구에 맞는 꾸준한 제품혁신과 맞춤화된 제품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 관계자는 말한다. 멋과 건강을 추구하는 한국 여성들을 겨냥해 프리미엄 서클렌즈를 세계 최초로 출시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며 성장을 계속하고 있다.

쿠퍼비젼코리아(대표 최익준)는 소비자 대상의 광고나 프로모션은 지양하고 대신 교육에 역점을 두고 일선 안경사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각종 교육을 기획하고 실행하고 있다. 콘택트렌즈 뿐만 아니라 안경렌즈와 관리용액 관련 기업들과 함께 하는 전략적 교육을 실시하는 등 업계의 발전에 도움이 되는 기업으로서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한국시바비젼(대표 온종석)은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하루착용 렌즈시장에 주력할 계획이다. 특히 지난해 선보인 국내 유일한 하루착용 난시렌즈에 대한 공격적인 마케팅를 전개하겠다고 관계자는 말한다. 또 경쟁사와 차별화되는 원데이 칼라 서클렌즈의 경우 4가지 색상과 타사와 달리 서클지름이 커서 착용자의 눈동자를 크고 또렷하게 보이게 하는 장점을 부각시켜 적극적인 판매활동에 나서겠다고 한다.

문제점 및 대안
우리나라의 경우 국민 중 50%이상이 시력교정을 필요로 한다. 또한 이들 중 20% 가까이가 콘택트렌즈를 착용하고 있고, 그 비율은 점차 증가 추세이다. 패션, 성형, 미용에 민감한 소비자들이 늘어나면서 콘택트렌즈 착용에 따른 부작용을 호소하는 목소리 또한 높다. 이와 관련해 전문가들은 이들 중 대부분은 렌즈에 대한 올바른 착용법을 잘 모르거나 비위생적으로 착용하고, 품질이 검증되지 않은 제품을 사용함으로써 일어나는 문제라고 지적한다.
따라서 소비자들이 콘택트렌즈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바탕으로 검증된 제품을 사용한다면 안전하고 편안하게 보다 뚜렷한 시력을 누릴 수 있다고 그들은 조언한다.

구득실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