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후에 신물, 트름, 명치통증이 있지 않는가? 사실 당뇨병 환자의 상당수가 소화기 장애를 겪고 있다. 이것은 당뇨병성 신경장애로,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고통받고 있다. 당뇨로 인한 혈당관리 문제는 몸의 신경에 영향을 미치는데 식도신경의 경우 그 기능이 저하돼 역류성 식도염이 같이 오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최근 이 두 질환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성분으로 아보카도에서 추출되는 '아보카틴 B'가 관심을 받고 있다.
아보카틴 B는 아보카도에 함유된 희귀한 생리활성 화합물로, 항염·항산화 작용을 통해 여러 대사 질환을 완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 성분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당뇨병 관리에 있어서 아보카틴 B의 효능이 관심을 받고 있다.
캐나다 University of Guelph 연구진이 2019년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아보카틴 B는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고, 당 대사를 정상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아보카틴 B는 세포 내 지방 축적을 감소시키며 이는 인슐린이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인슐린 저항성은 제2형 당뇨병 환자들에게서 나타나는 주요 문제인데, 이 성분이 이 문제를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또한 아보카틴 B는 지방 간을 억제해 간 건강을 유지시켜 준다. 이는 당뇨병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신체 대사 과정을 돕는 데 효과적일 수 있다. 당뇨 환자들의 식단에 아보카도를 포함시키는 것이 혈당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은 많은 연구에서 지지되고 있다.
역류성 식도염은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면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소화불량, 가슴 쓰림, 가슴 답답함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 이 질환은 주로 위산 과다 분비와 식도 점막의 염증으로 인해 발생하는데, 아보카틴 B는 이러한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항염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미국 UCLA에서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아보카틴 B는 위산 분비를 억제하고 소화기 점막을 보호하는 작용이 있다는 결과가 도출됐다. 이는 역류성 식도염의 주된 원인인 위산 역류를 완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긍정적이다.
특히 아보카틴 B의 항산화 작용은 위장 점막 손상을 방지하고 염증 반응을 억제해 역류성 식도염의 증상을 완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처럼 아보카틴 B는 단순히 한 가지 질환에만 좋은 성분이 아니라 당뇨와 역류성 식도염 모두에 이중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최근 더욱 주목받고 있다.
관련 학계에서도 "아보카틴 B는 인슐린 저항성 개선을 통해 혈당을 조절하며, 동시에 위장 건강을 보호하고 염증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라며 "당뇨와 역류성 식도염은 빈번하게 동반되는 질환이다. 이때 아보카틴 B를 섭취함으로써 두 가지 질환을 동시에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