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세 초고령 수술 시대가 열렸다.
대한민국이 '초고령사회' 진입을 눈앞에 둔 시점에서 최근 101세 할머니가 강남나누리병원에서 고관절 수술을 받고 건강을 되찾음으로써 수술에 대한 편견을 깨뜨리고 '실버케어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등 시사하는 바가 컸다.
지난달 21일 토요일, 가정학 교육자로 활동하였던 윤서석(1923년생) 박사는 거실에서 TV를 보던 중 중심을 잘못 잡고 몸이 앞으로 고꾸라져 소파에서 떨어졌다. 보호자가 자리를 비운 사이 갑자기 발행하여 직접 119에 신고하려 손을 뻗었지만 몸이 움직이질 않았다. 주말인데다 대학병원 응급실 진료ㄱ도 어렵고 위급한 상황이었으나, 나누리병원에는 입원과 동시에 검사와 진료가 모두 가능했다.
강남나누리병원 관절센터 문성철 원장은 대퇴전자간골절 진단에 따라 고령 환자의 마취 부담을 최소화하여 안전하고 신속하게 핀고정술을 시행했다. 문성철 원장은 "고관절 골절의 경우 아예 움직임이 불가능하여 수술이 불가피하다. 골절이 발생한 후 24~48시간 이내에 시행하는 것이 좋은데 윤서석님이 강남나누리병원으로 빨리 내원하여 신속하게 수술을 진행할 수 있었고, 수술도 안전하게 마무리 되었다"고 설명했다.
환자 가족들은 "101세라는 연세 때문에 수술을 망설였는데 오히려 지인들이 '수술이 답'이라고 적극 권해서 깜짝 놀랐다. 다행히 어머니가 수술 후에 회복도 빠르셔서 더 놀라웠고 정말 세상이 많이 바뀌었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101세의 윤서석 박사는 수술 후 일주일 만에 앉고 일어서고 걷는 재활을 시작했다.
대부분 골절 환자의 경우 2주 정도 침상 안정 후 의료진 처방과 함께 재활치료가 들어가는데, 고령 환자일수록 다리 힘이 빠지는 등 근손실이 이어질 수 있고 전반적인 신체 기능도 함께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세심한 케어가 필요하다.
나누리병원은 수술 후 재활을 더 중시하는 전문병원으로서 환자 중심의 단계별 특수물리치료 프로그램과 차별화된 건강관리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문성철 원장은 "윤서석님은 101세, 아주 높은 연세이지만 상태가 빠르게 호전되어 재활을 일찍 시작했다. 고령 환자는 수술 후 전반적인 신체 기능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빠른 시기에 앉고 서고 걸을 수 있도록 운동감각의 회복에 중점을 둔 재활 프로세스의 구성이 필요하다"며 강조했다.
고령의 고관절 골절 환자는 사망률이 매우 높은 편이다. 골절 자체의 문제가 아닌, 골절로 인해 장기간 누워있게 되면서 혈전에 의한 뇌졸중, 폐렴, 욕창, 영양실조 등을 그 원인으로 꼽을 수 있다.
갑작스러운 낙상 사고에 의한 골절은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는데, 낙상사고의 상당수는 집안에서 일어난다. 노인의 경우 근육량이 적고 관절도 쉽게 굳어 균형을 잡기 어렵기 때문에 낙상사고에 쉽게 노출된다. 소비자 24에 따르면 최근 4년(2018~2021년) 사이 65세 이상 고령자에게 발생한 안전사고의 62.7%가 낙상사고로 나타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노인 낙상사고 4건 중 3건은 집안에서 발생했다.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