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는 많은 이들이 두려워하는 의료기관 중 하나다. 평소 양치질만 규칙적으로 잘해도 무서운 치료를 받을 필요가 없다. 영구치는 일단 빠진 후에는 재생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처음부터 치아를 잘 관리해서 오래 사용하는 것이 좋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구강 내 이상 증상이 발생해도 별다른 대처를 취하지 않는다. 치주염이 대표적인 예다. 치주염은 치조골과 이를 연결하는 치주인대까지 염증이 생긴 경우다. 플라크가 내뿜는 독소 혹은 세균을 막기 위해 우리 몸에서 분비하는 물질로 인해 치주조직이 파괴되면서 발생한다.
치주염 초기는 잇몸이 붓고 붉어지면서 들뜬 느낌이 나고 건드리면 피가 난다. 잇몸이 내려가 치아 사이가 뜨기 시작하고, 간혹 흔들리면 중기로 본다. 마지막엔 심한 잇몸 퇴축과 함께 치아 사이가 벌어지면서 치아가 힘없이 흔들리게 된다. 이땐 치아를 발치하는 상황에까지 이를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안타깝지만 치주염은 뚜렷한 자각 증상 없이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 정기적인 치과 관리를 통한 조기발견이 가장 중요하다.
동일한 잇몸 부위에서 자주 피가 나거나 피곤하면 잇몸이 붓고 들뜬 느낌이 드는 경우, 잇몸 통증이 있거나 치아 사이가 점점 벌어지는 경우, 치아 사이에 음식물이 많이 끼고 치아가 흔들리는 경우 치주염을 의심해볼 수 있으므로 적극적인 관리와 치료가 필요하다.
고르다치과의원 강남점 고상훈 대표원장은 "치주염으로 인한 치아 소실로 임플란트를 진행해야 한다면, 잇몸뼈를 채워 넣는 뼈이식술이 불가피해 시간과 비용이 더 소요된다. 치주염으로 인한 발치 후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과정은 고난도 수술에 속하는 만큼, 임상경험이 풍부한 의료진에게 받아야 한다. 식립술이 잘못되면 2차 감염과 탈락, 재수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수술 전에는 정밀검사를 통해 전반적인 건강 상태, 잇몸뼈의 양, 구강 구조 등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개인별 맞춤 계획을 세워 수술을 진행한다. 이때 디지털 장비를 이용해 식립 경로를 미리 파악해두면 정교하고 안전한 식립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고상훈 원장은 "치과 선택 시에도 경험 많은 의료진이 안정성 높은 진료를 진행하는지, 디지털 장비 시스템을 갖추었는지, 정품 재료를 사용하는지, 철저한 감염관리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는지 등을 확인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어 "치주염 예방을 위해서는 칫솔질뿐만 아니라 치간 칫솔, 치실, 구강용품 등을 사용해 치아와 치아 사이까지 깨끗이 닦아내야 한다. 또 치주염으로 진단받은 경험이 있다면 재발과 진행을 막기 위해 1년에 2~3회 정도 치과 스케일링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했다.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