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는 노화의 직격탄을 맞는 부위 중 하나이다. 나이가 들수록 잇몸과 이가 약해지며, 음식을 잘 씹지 못하게 된다. 의식주 중 식의 능력이 떨어지면 삶의 질도 덩달아 저하된다. 이를 최대한 막아주고 오랜 기간 건강하고 튼튼한 치아로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은 철저한 관리다.
그러나 구강 관리가 잘 되지 않아 발치가 필요한 상황으로, 임플란트 수술을 고려하는 이들의 연령층이 확대되는 추세이다. 임플란트가 보편화되지 않았을 때는 틀니나 브릿지 사용자가 훨씬 많았다. 점차 장치 및 장비, 의료진의 기술력 등이 발전하면서 틀니 사용자들도 임플란트로 대체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고르다치과의원 강남점 고상훈 대표원장은 "임플란트는 만 65세 이상 건강보험에 가입됐다면 누구나 동일한 혜택을 받는다. 평생 2개까지 받을 수 있고, 자기부담금 30%만 부담하면 된다. 오스템임플란트 정품으로도 적용 받을 수 있지만, 크라운은 pfm이어야만 한다. 정책에 따라 달라지는 내용이 있을 수 있으니 보험임플란트를 계획중이라면 치과에 방문해 상담받아보는 것을 권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연령 미달, 무치악 등 상황에서는 보험 적용이 어려워 틀니로 알아보는 편이 좋다. 뼈이식 등 그외 치료는 별도 항목이기에 해당되지 않는다. 보험 혜택을 받으려면 처음부터 끝까지 한 치과에서 진행해야 한다. 치료 도중 치과를 변경하면 보험 적용이 어려워질 수 있으니, 치과 선택 역시 중요하다"고 전했다.
pfm은 과거에 사용되던 크라운 소재로, 겉은 도자기로 되어있어 치아와 유사한 색을 띄지만 안쪽은 메탈로 빛이 전체적으로 탁하고 속이 비쳐 보인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겉 표면이 포셀린(도자기소재)로 되어있어 파절될 가능성이 높고 시간이 지날수록 그 위험성과 안쪽 메탈의 비침 현상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건강보험 적용이 가능한 상황이라고 해도, 보험적용을 포기하고 지르코니아 크라운을 선택하는 이들도 적지 않다. 지르코니아는 세라믹 소재 중 가장 단단해 파절 위험성이 적고, 겉과 속 모두 치아색이 나는 소재로 시간이 지나도 내부가 비칠 염려가 없다. 따라서 건강보험 적용을 꼭 받아야하는 상황이 아니라면 안정성과 심미성 모두를 가지고 갈 수 있는 지르코니아 크라운을 사용하는지도 꼭 체크해보아야 한다.
고상훈 원장은 "임플란트 수술 후에도 매일 구강보조용품을 사용한 양치질을 잘 해야하고, 정기검진과 스케일링을 통해 입속 내 질환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를 잘해주어야 한다. 잦은 음주는 잇몸 건강을 해롭게 하며, 흡연은 입안에 온도를 녹이고 점막에 염증을 유발할 가능성을 높여 임플란트를 오래 사용하지 못하게 한다. 금주와 금연을 권장하며 잇몸 건강을 위해 식이섬유를 섭취하고, 관리에 신경을 많이 써야할 것을 당부한다"고 전했다.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