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려지던 밀기울(속껍질)을 화장품 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렸다. 밀 제분 과정에서 발생하는 밀기울은 국내에서만 연간 4200톤 정도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농촌진흥청은 최근 국내 밀기울 지질성분의 화장품 소재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 한국과학기술원과의 협력 연구로 기능성을 증진하는 처리방법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밀기울은 식이섬유, 무기질, 비타민B, 폴리페놀 함량이 풍부할 뿐 아니라 식물성스테롤, 세라마이드 등과 같은 기능성 지질 성분이 많이 함유돼 있다. 특히 해외에서는 보습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까지 활용 가치가 높아지고 있다.
농촌진흥청 수확후이용과 연구진은 밀기울 지질로 만든 유화액이 물과 기름 분리 없이 안정적으로 형태가 유지되는 결과를 확보했다. 이어 저온 플라즈마 처리로 주름 개선과 보습 활성이 높아지는 효과를 입증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밀기울에 저온 플라즈마를 처리했을 때 항균·항염, 피부 미색·보습 등의 기능이 있는 지방산 함량이 5.29~8.34배 많아졌다. 기능성 지방산 증가로 주름 개선 효능과 보습 활성이 각각 12.05%p, 4.83%p 증가해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도 확인했다.
플라즈마란 고체, 액체, 기체 이외의 상태인 제4의 물질로 주로 반도체 분야에서 활용하고 있다. 농식품 분야에서는 원료생산과 품질개선 등에 이용해 왔다. 최근에는 기능성 소재 개발 과정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있다.
농촌진흥청은 이전 연구에서 저온 플라즈마 기술이 식량작물 부산물의 기능 성분을 높이는 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한 바 있다. 농촌진흥청은 관련 연구 결과를 전문학술지에 게재하고 산업재산권을 출원했다. 앞으로 밀기울 함유 지질이 산업 소재로 널리 활용될 수 있도록 산업체에 기술을 이전해 사업화를 지원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 수확후이용과 하태정 과장은 "밀기울과 같은 농업부산물이 새활용(업사이클링)을 통해 다양한 산업 소재로 재탄생할 수 있도록 지속해서 관심을 두고 연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