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병원협회 "응급환자 지원 광역상황실 소청과 전문의 없다"

정부 소아응급의료대책 생색용 드러난 꼴... 대책 마련 시급

최용재 회장 

"정부가 소아응급환자를 포기한 것인가 아니면 소아응급환자를 버린 것인가."

대한아동병원협회(회장 최용재)는 "현재 응급 환자를 지원하기 위해 정부가 운영중인 전국 40여개 광역상황실에 소아청소년과 의사가 상주하고 있지 않아 소아응급환자에게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며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대한아동병원협회는 23일 '전국 40여개 광역상황실 운영' 관련 입장문을 내고 "소아응급환자를 위한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사가 상황실 의사 범위에서 빠져 있는 것은 정부가 그동안 줄기차게 강조하고 소아 응급실 뺑뺑이 보도시마다 언론에 발표한 소아응급의료 대책이나 소아의료 대책을 무색하게 만드는 꼴"이라고 지적했다.

협회에 따르면 정부는 응급환자의 전원 업무를 지원하는 전국 40여개 광역상황실의 급박한 상황을 판단하기 위해 상황실 의사를 응급의학과·내과·외과 전문의로 규정하고 있고, 그 대상에 소아청소년과 전문의는 빠져 있다.

이를 두고 아동병원협회는 "대형병원 응급실에 소아 응급 환자 내원시 배후 진료로 소아청소년과 의사가 반드시 있어야 입원이나 이송 등 진료 결정을 내리는데 정부가 운영 중인 전국 광역상황실에 소아청소년과 상주 규정이 없는 것은 정부 스스로가 소아응급환자를 포기했거나 버린 것이 아닌지 의구심이 갈 정도"라고 지적했다.

최용재 대한아동병원협회 회장(의정부 튼튼어린이병원장)은 "전국 40여개 광역상황실은 상황요원 2~4명과 상황실 의사 1명이 조를 이뤄 24시간 운영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소아응급환자를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살피지 못하는 현실에 대해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소아응급환자를 볼 수 있도록 소아응급의료체계를 확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아무런 대책없이 구급대원에 의해 소아 환자가 아동병원을 내원할 시 신속 대처 등 어려움과 불가항력적 의료 사고 부담감 등이 많아 소청과 공백에 따라 이송을 비롯한 소아 응급 진료의 시스템 구축이 절대시 되고 있다"면서 "아동병원은 대학병원과 달리 응급실이 없는데도 어쩔 수 없이 구급대원에 의해 소아응급환자가 아동병원에 내원하고 있으며 이 같은 빈도는 점차 늘어나고 있어 관련 기관과의 대응 매뉴얼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정부의 지원책 미비로 소청과 전문의의 탈 소청과화와 소청과 전공의 기피 현상이 심화돼 지방 응급실마다 소청과 전문의를 구하기 어렵게 됐다"며 "지방 응급실의 소청과 전문의 확보 방안도 함께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아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