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 수출식품 부적합 '표시기준 위반'이 최다

식품안전정보원, 수출식품 부적합 사례 분석 제공

올해 1분기에 해외로 수출된 한국산 수출식품 중에서 표시기준을 위반해 부적합 판정을 받은 사례가 가장 많았다. 품목별로 보면 가공식품과 농산물, 건강식품류, 수산물 등으로 나타났다.

식품안전정보원(이하 정보원)은 한국산 수출식품의 해외 부적합 사례 공유를 통해 부적합 재발을 방지하고, K-푸드 수출 활성화를 위해 올 1분기 한국산 수출식품의 부적합 사례와 주요국의 기준·규격을 분석한 '한국산 수출식품 부적합 사례 및 기준·규격' 보고서를 공개한다고 밝혔다.

2024년 1분기 한국산 수출식품 부적합 사례는 총 111건(전년 동기 112건)으로 품목별로는 가공식품(72건), 농산물(26건), 건강식품류(7건), 수산물(4건), 기구용기포장(2건) 순이었으며, 원인별로는 표시기준 위반(51건), 동물성원료 함유 관련 검사검역 허가 미취득(38건), 잔류농약(22건), 미생물(16건), 식품첨가물(6건) 등으로 나타났다.

정보원은 이번 보고서에서 수출 상대국에서 발생한 부적합 빈도, 조치 현황 등을 고려해 주요한 부적합 사례 5개를 선정하고 특이사항, 관련 기준 등에 대한 상세정보를 조사해 제공했다.

주요 사례를 보면 중국의 경우 '24년 1분기에는 중국으로 수출한 면류 등에서 동물성 원료 함유에 따른 '검사검역 허가 미취득' 사례가 38건으로 가장 많이 발생했다. 따라서 중국으로 동물성 원료를 함유한 제품을 수출하는 경우에는 중국의 '출입국 동식물 검역법' 및 관련 규정에 따라 품목별 사전허가를 취득한 후 수출해야 한다.

대만으로 포도를 수출하는 농가는 대만의 잔류농약 기준에 적합하게 생산한 농산물을 수출해야 한다. 대만으로 수출한 포도의 잔류농약 부적합은 2023년 4월부터 지속돼 해당 품목의 전수검사 등 대만 정부의 수입검사 강화조치('24.2~8)로 이어졌다. 테트라닐리프롤, 프로파자이트, 사이에노피라펜에 대해서는 포도에 설정된 국내 기준에 적합했으나, 대만에서는 기준치 미설정 즉, 불검출 기준을 적용하는 것이 원인으로 분석됐다.

미국으로 수출한 건강식품류에서는 알레르기 유발성분 표시부적합이 다수 발생했다. 미국에서의 표시부적합은 일반 가공식품에서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수출 시 주의가 요구된다. 2023년 정보원이 조사·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의무 또는 자율 표시대상 알레르기 유발물질의 종류와 표시방법 등에서 국가별 차이가 있으므로 수출국의 표시 요건에 맞춰 사전에 면밀하게 준비해야 한다.

이재용 원장은 "앞으로도 한국산 수출식품 부적합 사례를 토대로 분석한 해외 규제정보를 적시에 제공해 수출 부적합 이슈 발생을 사전에 차단하고 재발 방지를 통해 수출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정보원은 '오픈상담의 날'과 '글로벌 식품 법령·기준규격 정보시스템'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 K-푸드 수출지원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특히 수출을 원하는 기업 중 수출 상대국의 표시기준 등 관련 기준·규격에 문의가 있는 경우 정보원의 수출지원 서비스를 이용해 사전에 상담을 받고 진행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이번 '한국산 수출식품 부적합 사례 및 기준·규격' 1분기 보고서는 식품안전정보원 누리집(www.foodinfo.or.kr) → 지식마당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원식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