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플란트는 치아에 큰 손상이 가하거나 회복이 불가할 때 받는 치과 치료이다. 신경치료를 했던 치아나 잦은 잇몸치료를 받던 부위로 회복이 안되 빠지거나 부러지는 상황이 올 수 있다. 이렇게 발치된 치아는 그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데, 치료를 받지 않고 빈 공간으로 두게 되면 2차 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치아는 움직이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잇몸에 잘 박혀있을 것 같던 치아도 힘을 가하게 되면 이동을 한다. 이때 치아에 빈 공간이 생기면 지지하고 있던 치아가 없어져 치아가 쓰러지거나 교합이 맞지 않아 반대교합의 치아가 돌출되기도 한다. 때문에 늦지 않게 수복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임플란트 수술 시에도 부작용 위험을 주의해야 한다. 수술 후 문제가 생겨 병원을 찾는 환자들의 사례를 보면 그 이유가 다양하다. 보철물에 이상이 생긴 경우, 뼈이식이 실패하는 경우, 신경 손상으로 감각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 세균에 감염되어 생기는 임플란트 주위염 등이 있다.
고르다치과의원 강남점 고상훈 대표원장은 "가장 흔히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으로 임플란트와 잇몸뼈가 붙지 않는 골유착 실패다.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특별한 이유 없이도 나타날 수 있는 문제이기에 어렵게 느껴질 수 있다. 이런 경우 심었던 보철물을 제거하고 뼈가 아물 때까지 기다린 후 재수술을 할 수 있으며, 문제와 상황을 잘 체크해 대응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또 다른 부작용으로, 임플란트를 심은 자리에 세균 감염으로 인한 주위염 발생이다. 염증이 오랫동안 남아있거나 지속해서 발생하는 경우로, 물리적으로 뼈가 잘 붙었더라도 주변 반응, 염증으로 인해 재수술 과정을 거치게 될 수 있다. 비교적 복잡한 뼈이식 과정을 거쳤다면 주위염이 쉽게 나타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고 전했다.
특히 아랫니 임플란트 진행 시 발생할 수 있는 가장 큰 부작용은 임플란트를 심는 과정 중 신경이 다치는 경우이다. 잇몸뼈가 부족하거나 최대한 긴 임플란트를 심고자 할 때 나타날 수 있는 문제로, 이로 인한 결과는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기에 더 주의해야 한다.
고상훈 원장은 "성공적인 식립술을 위해서는 치아 손상 여부 파악과 함께 치아 상태에 맞는 치료계획을 세우는 것이다. 임플란트 수술에서 기본이 되는 사항으로 치조골의 크기 파악이다. 임플란트 치료 계획이라고 하면, 더 이상 기능을 회복하지 못하게 된 치아를 발치하기에 앞서 계획을 수립하게 된다"고 전했다.
이어 "치과를 찾는 이유는 치아 통증이 대부분이다. 그만큼 치아가 손상되기까지 오랜 시간 방치한 경우가 많아, 치아 손상 여부를 잘 체크하고, 아픈 곳을 파악해 진단 받는 것이 중요하다. 내 치아를 정밀 진단해 어떤 상태인지, 어떤 치료가 필요하고, 어떤 결정하는 것는 것이 현명한 선택일지 진단을 내려줄 수 있는 곳인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했다.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