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을 휩쓴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이 국내에서도 계속 확산되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도 감염된 아동이 늘어나고 있는데 가운데 안일한 정부 대책의 지적과 함께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아동병원협회(회장 최용재)는 "인도, 대만 등 인접 국가를 긴장하게 만들고 있는 마이코플라즈마 소아 감염병에 대해 보건 당국이 너무 안일하게 대처하고 있다"며 "감염 예방을 위해 개인 손씻기 등 개인에게 만 맡길 것이 아니라 코로나19를 반면 교사로 삼아 마이코플라즈마 유행을 대비한 정부 차원의 사전 대책을 마련하라"고 주문했다.
소아 감염병은 학교나 유치원 등 등교를 비롯한 집단생활이 불가피해 초기 대응이 부실하면 유행은 한순간에 확산하는 특징이 있다.
아동병원협회에 따르면, 소아필수 인력 부족과 최근 독감 환자의 급증을 비롯한 각종 바이러스 감염 환자가 폭증이 맞물려, 마이코플라즈마가 유행이 본격화되면 소아진료 혼란이 가중될 가능성이 크다.
이런 상황임에도 정부는 새로운 병원균은 아닌 4년에 한 번씩 유행하는 바이러스로 국내 의료 수준이 치료할 수 있는 수준이므로 대응 수준을 높이기보다는 마스크 착용 등 개인 방역수준을 높이는 걸 권고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아동병원협회는 "진료 현장에서는 이같은 우려로 매일 살얼음판을 걷고 있다"며 "아직도 정부는 소아필수의료 인력 부족으로 겪는 오픈런과 마감런으로 인한 환자 및 환자 보호자의 고통과 코로나19의 교훈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어 "최근 언론 보도를 살펴보면 보건당국의 마이코플라즈마 정부 대책에 대한 것은 전혀 찾아 볼 수 없고 보건소 등에서 개인 위생을 당부하는 기사뿐"이라며 "도대체 정부가 왜 존재하는지 그 존재 이유를 모르겠다"고 비판했다.
실제 인도나 대만 등 국가에서는 중국 해외 여행 자제라든지 마이코플라즈마 자국 유입을 예방하기 위해 경계령까지 취하는 등 노력하는 모습이 보이고 있는 상황.
협회는 "소아필수의료 부족으로 소아의료의 열악한 환경이 초래돼 응급실 뺑뺑이 사건이 대서특필 되는 상항인데도 유행이 아니라는 이유로, 신종 전염병이 아니라는 이유로 정부는 손을 놓고 있는 것이 아닌가"라며 "지금도 진료 대기 시간이 3-4시간은 기본인데 만약 마이코플라즈마가 국내에서 유행하게 되면 환자 및 보호자와의 고통은 감당하기 힘든 상태로 치닫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최용재 대한아동병원협회 회장(의정부 튼튼어린이병원장)은 "현재 질병청 주간 감염 발표를 보면 마이코플라즈마 표본 감시 의료기관이 200병 이상으로 돼 있는데 응급실 뺑뼁이 사건 등은 200병상 이상 병원의 소아의료인력 부족으로 발생했던 것"이라며 "유행 감시라는 본래의 목적에 부합하려면 반드시 개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마이코플라즈마 폐렴과 독감 등 소아 감염 환자를 가장 많이 진료하는 곳은 아동병원으로 소아감염 표본 감시 의료기관으로 아동병원이 포함돼야 보다 정확한 환자 표본 감시가 이뤄질 것"이라고 제안했다.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