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양표지자 변화 추이 계산, 난소암 생존율 예측 규명

고대구로병원‧국립암센터 난소암 연구팀, 1만444명 난소암 환자 대상 메타분석 시행

(왼쪽부터)고대구로병원 부인암센터 조현웅 교수,국립암센터 임명철 교수, 영국 임페리얼 칼리 포토풀루 교수

국내 연구팀이 종양표지자 변화추이 계산을 통해 난소암 예후 예측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고대구로병원(원장 정희진)은 부인암센터 조현웅 교수가 국립암센터 임명철 교수 연구팀(임명철 교수, 김지현 전임의, 박은영 연구원) 및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포토풀루 교수와의 공동연구로 '종양표지자 변화 추이 계산(ELIMination rate constant K, KELIM)을 통해 난소암 환자의 예후 예측이 가능하다'는 결과를 발표했다고 29일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난소암은 부인암 중 생존율이 가장 낮은 암으로, 환자의 예후 및 치료반응 예측이 매우 중요하지만 현재까지 제한점이 많았다는 것.

이에 연구팀은 이전에 발표된 총 1만4444명의 난소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27개 연구 데이터로 메타분석을 시행해 KELIM에 대한 통합된 무진행생존율과 전체생존율을 분석했다.

그 결과 난소암 KELIM에서 좋은 예후 그룹에 해당되는 환자가 실제로도 암으로 인한 재발 또는 사망 위험이 나쁜 예후 그룹에 비해 약 50% 감소한 것을 확인했다.

또한 난소암 치료에 최근 많이 사용되는 치료제인 PARP 저해제나 혈관생성억제제인 베바시주맙에 대한 반응도 예측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KELIM'은 항암치료 중 환자의 종양 표지자 혈액검사 수치 변화 추이를 수학적으로 계산, 환자가 암 치료에 잘 반응하는지 예측하고 나아가 환자의 재발이나 사망과 같은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최신기법이다.

이와 더불어 환자의 치료반응이나 예후 예측 정확도가 높으면서도, 비용이 거의 들지 않아 환자에게도 매우 유용하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조현웅 교수(제1저자)는 "이번 연구를 통해 난소암 KELIM이 환자의 치료반응을 미리 예측해 항암제 및 표적치료를 포함한 치료전략을 세우는데 매우 유용하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임명철 교수(책임연구자)는 "앞으로 난소암 KELIM을 실제 환자 치료에 적용해 환자 맞춤 정밀의학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SCIE 학술지인 'International Journal of Gynecologic Cancer' 최근호에 게재됐다.


김아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