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처치의 출혈요법]
▷지난호에 이어
2)십이기정혈(十二氣井穴) 출혈
십이기정혈(十二氣井穴)이란 십이기맥(十二氣脈)의 끝이나 시작되는 곳으로 중지(中指)를 제외하고 모두가 손끝에 위치해 있다.
손끝은 운동량이 제일 많고 지각신경이 예민하며 문맥이 많이 발달해 혈액순환의 중요 부분이며 사물의 기운을 받고 빼주는 에너지[氣發生]가 가장 많은 부분이다. 고전에 이르기를 "모든 양기는 손발 끝에서 받아 들인다"고 했다. 즉 손발을 움직여야 모세혈관, 문맥의 활동이 활발해지고 근육의 운동에 의해 에너지가 발생된다는 의미이다.
모든 혈액순환은 대·중·소동맥(大·中·小動脈)에서도 중요하나 모세혈관이 많은 부위가 가장 중요하다.
모세혈관은 어혈(瘀血)이나 순환장애가 있을 경우 혈색이 변색되기 쉽다. 이렇게 변색된 혈색에는 청락(靑絡)·적락(赤絡)·흑락(黑絡)의 세 가지가 있다. 그리고 모세혈관의 순환장애 질병을 통틀어 손락(孫絡)의 질병이라고 한다. 손끝의 모세혈관은 혈락(血絡)의 반응이 가장 예민하게 나타나므로 기정혈(氣井穴)이 모세혈관의 혈액순환 촉진에 미치는 영향은 크다.
기정혈은 전체적으로 전신(全身)의 혈액순환장애를 치료할 뿐만 아니라 특정 질환을 치료할 때에도 사용한다.
십이기정혈에서 사혈하는 것은 가장 쉬운 방법이고 반응도 우수하다. 십이기정혈의 위치는 손톱 뿌리에서 약 2mm 되는 지점이고, 손바닥쪽으로는 손톱 밑에서 약 2mm 되는 지점이며, 측면의 모서리 각진 곳에서도 대략 2~3mm 되는 지점이다. 출혈(出血)을 하기 전에는 충분히 비벼준 다음에 알코올 탈지면으로 소독을 한다. 그리고 1회용 출혈침(出血針)을 준비하고 원암출혈침관에 끼운 다음에 사용한다.
기정혈에서 출혈을 할 때에도 소량만 출혈하는데 혈색에 따라서 양을 조절하도록 한다. 색이 선홍색이거나 묽고 연할 때에는 소량 출혈을, 색깔이 검거나 먹물같이 진할 때에는 맑은 피가 나올 때까지 짜주어도 좋다. 이렇게 해서 흘린 피가 의자(醫者)나 제3자에 묻지 않도록 주의한다.
십이기정혈의 출혈 의의와 방법은 앞에서 언급했기 때문에 대략 이해가 됐으리라 생각된다.
가벼울 땐 좌수좌측(左手左側), 우수우측(右手右側)만 이용하고, 중증인 경우는 모두 자극한다. 중지두는 기정혈처럼 출혈한다.
원래 기정혈(氣井穴)은 구급질환, 인사불성, 정신혼미 등에 많이 쓰이고, 장부가 승증일 때 해당 기맥(氣脈)을 사(瀉)할 때에 기정혈에서 출혈시키면 대단히 좋다.
이 기정혈은 기맥(氣脈)의 유주(流注) 순서와 관계없이 손끝에 배혈(配穴)돼 있다. 주로 급성병에 이용한다. 즉 인사불성, 쇼크 등에는 기정혈을 모두 출혈시키고, 급성병이나 신병(新病)일 때에도 해당 기정혈에서 출혈한다.
기정혈은 다음과 같다.
폐(肺) - C13, 대장(大腸) - D1, 위(胃) - E45, 비(脾) - F2, 심(心) - G15, 소장(小腸)-H1, 방광(膀胱) - I39, 신장(腎臟) - J1, 심포(心包) - K14, 삼초(三焦) - L1, 간(肝) - N1, 담(膽) - M32
폐(肺) - C13: 폐(肺)의 급성병, 기침, 기관지염, 흉통(胸痛), 인후염 등에 이용한다.
대장(大腸) - D1: 대장(大腸)의 급성병, 체증, 장통(腸痛), 뱃살이 당길 때, 초기 감기 등에 이용한다.
위(胃) - E45: 급성 소화불량, 체한 것, 위병(胃病), 위열(胃熱), 유방질환, 두통, 눈병, 복통 등에 이용한다.
비(脾) - F2: 복통, 발바닥이 아플 때, 체증, 위장병(胃腸病) 등에 이용한다.
심(心) - G15: 심통(心痛), 흉통, 심계항진(心悸亢進), 두통, 두현(頭眩), 정신혼미 등에 이용한다.
소장(小腸) - H1: 소복통(小腹痛), 자궁통증(子宮痛症), 항강증(項强症), 목의 류머티즘 등에 이용한다.
방광(膀胱) - I39: 방광통증, 소변이상, 후두통, 요통 등에 이용한다.
신(腎) - J1: 신장(腎臟)통증, 요통, 소변 이상, 인후염증, 인사불성, 설병(舌病) 등에 이용한다.
심포(心包) - K14: G15와 대동소이(大同小異)하다.
삼초(三焦) - L1: H1과 대동소이하다.
담(膽) - M32: 편두통, 담통(膽痛), 옆구리와 담이 결리는 데에 이용한다.
간(肝) - N1: 간장통증(肝臟痛症), 위병(胃病), 심장병, 신경과민, 눈병 등에 이용한다.
중지두 - A33, B27, M2, M4 : 두통, 어지러움, 빈혈, 정신 불안정을 진정할 때 이용한다.
<다음호에 계속>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