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회전근개란 어깨를 감싸고 있는 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견갑하근이라는 4개 근육의 복합체이다. 이들은 어깨 관절의 운동과 안정성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는데, 여러 요인들로 인해 조직에 파열이 생길 수 있다.
어깨회전근개 파열은 관련 조직의 형태학적 이상, 혈액순환 장애, 과도한 사용, 구조물의 퇴행성 변화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특히 조직이 견봉과 상완골 사이에서 물리적인 압박을 반복적으로 받아 점진적인 파열이 생기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잠실 선수촌병원 박근민 원장은 "어깨를 무리해서 사용하거나 팔을 크게 휘두르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 올바르지 못한 자세로 어깨 운동을 하는 것 등이 어깨회전근개 파열로 이어진다. 또한 퇴행성변화가 진행되면 어깨힘줄도 약화되면서 작은 충격만 받아도 조직이 파열될 수 있으니 각별히 조심해야 한다. 이외에도 선천적 및 후천적, 퇴행성변화 등으로 인해 견봉이 튀어나온 상태라면 어깨회전근개파열이 발생할 확률은 더욱 높아지게 된다"고 설명했다.
어깨회전근개에 파열이 발생하면 어깨에 지속적인 통증이 느껴진다. 또한 팔 근력 약화, 어깨관절 운동 제한과 함께 야간통 증상이 동반되기도 한다. 조직의 완전파열인 경우에는 팔을 위로 들어 올리는 동작도 어려워질 수 있다.
박근민 원장은 "어깨회전근개파열은 MRI와 같은 정밀검사로 확진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조직의 어느 부위에 얼마만큼의 파열이 생겼는지 확인할 수 있다. 조직의 파열 양상에 따라 환자에게 비수술적 치료 또는 수술적 치료를 적용한다. 대부분의 환자는 약물 치료 및 주사요법, 물리치료와 같은 비수술적 치료를 통해 호전이 나타나지만, 비수술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급성 파열이 동반된 경우, 파열 범위가 넓은 경우에는 파열 부위를 봉합하는 수술적 치료가 고려된다"고 전했다.
파열된 어깨회전근개 조직을 계속 방치하면 만성통증이나 어깨관절염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치료가 지연될수록 파열 부위의 변성을 유발하게 되니 가급적 빠르게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권장된다.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