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 '링클케어' 베트남 '천연 화장품'에 높은 관심

연구원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 양국 뷰티 트렌드와 마케팅 사례 수록

태국과 베트남 소비자들은 스킨케어를 위해 각각 링클케어와 천연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은 최근 '2023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 3호를 발간하고 양국의 뷰티시장 트렌드를 집중 점검했다.

이에 따르면 태국은 밀레니얼 세대(33~41세)부터 X세대(42~57세)를 중심으로 피부 노화와 이로 인한 주름·모공으로 고민하는 사람들이 많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제품에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태국 시장 뷰티 트렌드>

특히 태국은 강한 자외선을 내뿜는 기후 환경과 점점 심각해지는 미세먼지 등의 환경적인 영향으로 주름 등 노화 징후들이 더 쉽게 나타나고 있어 링클케어 제품 수요가 높다. 본격적인 노화가 진행되는 중장년층뿐만 아니라 젊은 소비자들도 주름을 예방할 수 있는 레티놀(Retinol),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바쿠치올(Bakuchiol) 등의 제품들을 선호한다.

연구원은 "현지 조사에 따르면, 태국은 2029년까지 65세 이상 인구가 20%에 이르는 초고령 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는 데다 젊은 소비자들 사이에서도 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 향후 안티에이징 제품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남성 화장품도 태국 화장품 시장의 새로운 기회로 부상하고 있다. 왓슨스 태국 자료에 따르면 최근 태국 남성들은 기본적인 스킨케어뿐만 아니라 페이스 파우더, 아이라이너, 아이브로우 등도 검색하며 메이크업에도 눈을 돌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남성들이 여성용 제품을 사용하고 있고 태국 시장을 주도하는 남성 전용 브랜드는 아직 부족한 모습이어서 신규 브랜드들에게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남성용 시장과 함께 헤어케어 시장도 지속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현지 소비자들의 주요 미용 고민 중 하나인 탈모를 케어할 수 있는 샴푸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 베트남에서는 자연에서 유래한 천연성분이 함유된 화장품이 자극이 적어 민감성, 여드름성 등 모든 피부 타입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친환경 제품으로 평가받으며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베트남 시장 뷰티 트렌드>

베트남 천연 화장품 시장은 팬데믹 이후 크게 성장했다. 2020년 5197만달러에서 2023년 5755만달러(한화 약 760억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추정되며 이후 매년 4% 이상 성장해 2027년에는 6739만 달러(한화 약 890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베트남의 천연 화장품 시장의 가파른 성장 배경에는 미래 소비 시장의 주축이 될 MZ세대가 있다. 지속 가능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MZ세대들을 중심으로 안전하고 윤리적인 천연 화장품이 각광받고 있는 것. 실제로 ESG(지속가능경영), 크루얼티 프리(Cruelty-Free), 비건인증을 획득한 브랜드들의 인기가 높은 편이다.

이에 대해 연구원은 "천연 성분이 모든 피부 타입에 자극이 적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인식이 높아진 점과 베트남 소득 증가로 인해 가격보다 품질이 구매 고려 요소로 작용한 점이 시장 성장 요인으로 보인다"며 "가성비 좋은 제품도 여전히 인기가 있지만 품질이 좋은 프레스티지 화장품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어, 스킨케어 제품 마케팅 전략으로 천연성분과 한국의 기술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보고서는 베트남 전자상거래 시장도 지속적인 성장으로 주목받고 있다며, 뷰티와 퍼스널 케어 부문에서도 온라인과 모바일 매출 비중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베트남의 4대 주요 전자상거래 플랫품으로는 쇼피, 라자다, 틱톡샵, 잘로가 있으며, 특히 틱톡샵이 빠른 매출 성장을 보이며 인기 채널로 부상했다. 틱톡샵의 인기 브랜드들은 다양한 동영상 콘텐츠로 인지도를 높이며 인플루언서들과 라이브 스트리밍을 통한 할인 프로모션으로 매출을 높이고 있다.

한편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 3호에는 현지 전문가 인터뷰와 함께 인기제품 분석, 마케팅 사례, 현지 바이어 정보, 글로벌 화장품 이슈 동향, 글로벌 뷰티 전시회 등도 소개됐다. 자세한 내용은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올코스(www.allcos.biz)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혜란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