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 무거운 가방을 자주 매거나 어깨 근육이 쉽게 경직되는 편이라면 만성적인 어깨통증 증상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가벼운 근육통은 통증 부위를 부드럽게 마사지하고 충분히 안정을 취하면 호전된다.
그렇지만 2주일이 넘도록 어깨에 통증이 지속되거나 심한 통증으로 인해 팔을 움직이는 것도 어렵다면 어깨 회전근개에 손상이 생긴 것은 아닌지 확인해 보는 것이 좋다. 회전근개는 어깨 관절 주변에 있는 4개의 근육을 뜻한다. 외상이나 과도한 운동, 혈액순환 장애, 퇴행성 변화 등이 어깨 회전근개에 염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조심하는 것이 좋다.
잠실 선수촌병원 김홍겸 원장은 "어깨 회전근개에 발생한 염증은 회전근개가 파열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회전근개가 파열되면 지속적인 어깨통증을 느끼고, 시간이 지날수록 통증 강도가 점차 심해진다. 특히 팔을 들어 올리는 동작이 어렵고, 특정 각도에서 통증이 악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팔을 내릴 때는 힘을 제대로 줄 수 없어 팔이 그대로 툭 떨어지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그러므로 어깨통증과 함께 이와 같은 증상이 동반된다면 어깨 회전근개 파열을 의심하고 정확하게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권장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파열이 심하지 않은 환자는 약물·주사 요법, 물리치료 등의 비수술적 치료를 우선 적용해 호전을 기대한다. 파열 범위가 넓거나, 비수술적 치료로도 호전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관절내시경을 이용해 파열 부위를 봉합하는 수술적 치료가 고려된다. 봉합수술 후에는 어깨관절의 안정성을 회복하고 근력을 강화하는 체계적인 재활 과정을 필수적으로 거쳐야 한다"고 전했다.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