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DA, 코로나백신 접종 연례화 검토… 국산백신 개발 필수

해외백신 가격 인상 시 국내 감염병 대응체계 '심각'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코로나19 백신의 정기 접종 및 백신 구성의 간소화를 검토 중인 가운데 향후 독감처럼 코로나19 백신 연례접종 시행할 경우에 대비해 국내 백신 기업들의 개발과 정부의 지원이 지속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21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발간한 '글로벌 이슈 파노라마'에 따르면,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지난 1월 '백신·생물의약품 자문위원회'(VRBPAC)에서 코로나19 백신 연례 접종 및 백신 구성의 간소화에 대해 논의했다.

FDA는 두 번의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한 성인의 경우 매년 1회 접종하고, 어린이·면역저하자 등 고위험군은 연 2회 이상 접종하는 연례화 방안을 제안했다.

초기 접종과 추가 접종 모두 2가 백신(바이러스 2종에 대응)을 사용하는 접종백신 구성의 단일화도 제안했다. 백신 간소화는 현재 추가 접종용으로 사용하는 2가 백신을 기초접종부터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FDA 지침이 국내 백신 접종 정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국내 백신 업계의 신속한 대응과 정부의 지원이 지속돼야 한다는 의견이다.

현재 상용화에 성공한 국산 백신은 SK바이오사이언스 스카이코비원뿐이다. 이는 합성항원 방식의 초기접종용 단가백신이다.

국내 코로나19 mRNA 백신 임상을 진행 중인 에스티팜, 아이진, 큐라티스 등 업계 노력은 희망적이지만 지난해 정부 mRNA 백신 임상 지원 예산은 105억원에 불과하다. 백신 개발을 위해 임상 3상에 드는 비용이 1000억~2000억원임을 감안할 때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반면 미국 정부는 코로나19 mRNA 백신 개발과 관련해 연구, 생산 및 구매 등 직·간접적으로 총 319억달러(약 41조원) 이상을 지원했다. 이 중 3억 3700만 달러(약 4300억원)는 팬데믹 이전에 투자된 금액이다.

제약바이오협회는 "FDA 지침이 국내 백신 접종 정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국내 백신 업계의 신속한 대응과 정부의 지원이 지속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협회의 국내 백신산업 실태조사(2021년 기준) 결과 백신 연구 개발 과정에서 업계(159개사)의 애로사항은 연구개발 자금 부족이 47.2%(75개사)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인력 부족(25.2%·40개사), 인프라 부족(22.0%·35개사), 백신 원부자재 확보 어려움(15.7%·25개사)을 꼽았다.

또 화이자와 모더나가 최근 코로나19 백신 1회 접종 가격을 최대 16만원으로 올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어, 백신 해외 의존도가 높은 국내에는 구매에 따른 재정적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2021년 해외제약사 코로나19 백신의 구매 비용은 1도즈당 평균 2만5044원으로 총 3조8067억원(7900만명·1억5200만회 접종분)을 사용했다. 2023년 코로나 백신 구입 예산은 2151억원(1500만 회분)이지만, 16만원으로 가격 인상 시 2조4000억원(1500만 회분) 비용이 드는 셈이다.

향후 독감처럼 코로나19 백신 연례접종이 시행될 경우를 대비해 백신 개발 임상지원 등 정부의 연구개발 자금 지원의 폭을 넓혀야 한다고 했다. 업계와 정부가 mRNA 백신, 2가 백신, 독감-코로나19 콤보백신 개발 등 경쟁력을 갖춘 제품군 구축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협회 관계자는 "코로나 백신 연례 접종을 시행할 경우 백신 구성 단일화, 백신 수입 재정 부담 등 국내 백신 생태계에 영향을 준다"며 "발빠른 대처와 백신 주권 확보를 위해 임상시험 환경 혁신과 R&D 확대 등 국내 백신 개발환경 개선과 지속적인 연구개발은 필수"라고 말했다.
 


홍유식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