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양돈 산업과 탄소중립, 둘 다 지키는 생산성 향상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양돈과 농업연구사 전다연

국립축산과학원 양돈과 농업연구사 전다연

'강력한 폭염', '최장기간의 장마', '평년보다 열흘 빠른 첫 서리'등 기후변화를 체감하게 되는 말을 올해도 자주 들었다. 극단적인 기상 현상은 우리나라만의 이야기는 아니다. 꺼지지 않은 산불, 기록적인 폭우와 같은 기상재해 관련 해외 소식도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급격한 기후변화에 심각성을 인지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지난 해 10월, 11개 부처가 참여한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발표했다.

시나리오에 따르면 축산분야 온실가스 감축 수단에는 저메탄·저단백 사료 보급의 확대, 디지털 축산 경영을 통한 생산성 향상, 가축분뇨 에너지화, 육류 소비 대체 등 식생활 전환 등이 있다. 필자는 여러 수단 가운데 가축의 생산성 향상이 탄소중립 실현과 양돈 산업의 지속 가능에 모두 기여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돼지의 경우, 어미돼지가 낳은 새끼돼지는 육성기를 거쳐 비육돼지가 되어 출하 체중에 도달하게 된다. 하지만 한돈팜스에서 발표한 '2020년 전산성적 2022년 수급전망'에 따르면 태어난 돼지의 14.1%가 출하되기 전에 폐사한다. 즉 어미돼지 100만 마리가 1년에 각각 21마리의 새끼를 낳더라도 약 300만마리는 중도에 사라진다는 이야기다.

그렇다면 어미돼지가 낳는 새끼 수가 증가하고 어린 돼지들이 비육돼지가 되는 약 6개월 동안 폐사 없이 건강하게 성장한다면 어떨까. 현재와 같은 양의 육류 생산을 목표로 하면 어미돼지의 사육 수를 줄일 수 있고 농가 소득은 유지하되 사료비, 분뇨처리비 등 각종 경영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농촌경제연구원에서 작년에 발표한 '축산업 환경영향 분석과 정책과제'에 따르면 양돈 연간출하마릿수(MSY, 어미돼지 1마리당 1년 동안 출하시킨 비육돼지 수)를 17.9마리(2020년 기준)에서 20마리로 높일 경우 10만마리의 어미돼지 수를 줄일 수 있으며(10%↓), 어미돼지에 투입되는 사료를 12만 톤 줄여 양돈 산업 전체적으로는 1년에 714억원의 사료비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분뇨 배출량은 49만톤(10.7%↓), 온실가스 배출량 3만5천톤CO2eq(10.7%↓), 냄새 유발 물질 배출량은 2천톤(10.9%↓) 감축될 것으로 예측했다. 이에 그치지 않고 연간출하마릿수를 농업 선진국 수준인 25∼30마리까지 향상시킨다면 효과는 그 이상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했다.

또 한돈협회에서는 올해 4월 '한돈 산업 탄소중립을 위한 배출량 분석 및 대응 방안 연구 결과'를 발표해 한돈 산업이 탄소중립에 기여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했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기후에 민감한 농축산업의 산업적 특성을 고려할 때 생산성 피해를 최소화하며 온실가스 저감을 동시에 달성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가장 우선해야 감축 수단으로 생산성 향상과 고효율 에너지 설비 분야를 지목한 바 있다.

물론 돼지의 생산성을 단기간에 극적으로 향상시키기는 어렵다. 새끼돼지수(산자수)를 높이고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유전적 개량, 적절한 영양분 급여, 사양 및 번식관리, 돈사의 위생까지 복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더욱 중요한 것은 생산성을 단순히 농가의 경제적 이득을 위한 것으로만 한정짓지 말고 범지구적 환경 문제, 즉 기후변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생각의 전환이 필요하다. 지속 가능한 환경 조성에 책임감을 가지고 정부기관, 국민, 농가가 협력해 머리를 맞대고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며 개선해 나가는 노력을 계속해야 한다.


보건신문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