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의과학대학교 이상혁·배종원 교수팀, 행복감 증진 뇌 부위 밝혀

뇌 섬엽 회백질 부위 면적, 행복감 증진시키는 뇌 기초 부분 입증

(왼쪽부터) 이상혁 교수, 배종원 교수, 정혜연 연구원

뇌의 섬엽과 뇌활‧분계섬유줄, 뇌량, 쐐기앞소엽의 변화가 행복감을 변화시키는데 연관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차 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상혁 교수와 차 의과학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정신건강의학교실 배종원 교수, 정혜연 연구원 연구팀이 수행한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Scientific Reports 최근호에 게재됐다.

이상혁ㆍ배종원 교수팀은 건강한 뇌 구조를 가진 70명의 뇌를 구조적 자기공명영상(MRI)으로 촬영해 '복셀기반 분석기법(voxel-based morphometry, VBM)으로 행복감 척도(A concise measure of subjective well-being, COMOSWB) 점수와 회백질과 백질 구조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또 행복감 점수와 뇌 백질 부위의 분할 비등방도(fractional anisotropy, FA) 값을 측정, 분석했다. 그 결과 행복감을 많이 느낄수록 뇌 섬엽의 회백질 부위는 넓고, 뇌활/분계섬유줄, 뇌량, 쐐기앞소엽 백질 부위의 FA값은 낮게 측정됐다.

반면, 뇌 섬엽의 회백질 부위가 적을수록 백질 부위 FA값이 높을수록 우울증과 심리적 불안이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뇌 섬엽의 회백질 부위 면적이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뇌의 기초적인 부분임을 확인했다.

쐐기전소엽(precuneus)이 해당되는 내정상태회로 연결을 감소시키면 행복감을 증진할 수 있음도
김아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