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궐기대회에 참여한 한의약 단체는 대한한의사협회, 대한한약사회, 대한한약협회, 서울약령시협회, 의성허준기념사업회, 한국생약협회,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 한약발전연합회, 한국한약도매협회, 한국한약제조협회 등 10개 단체다. 이들이 궐기대회를 연 것은 겉으로는 불법·불량 한약재 추방이지만, 실제로는 서울약령시 등 전국적으로 한약 경기가 계속 바닥을 치고 있는데 따른 국내 한의약산업의 고사 위기의식에서 비롯되고 있다. 특히 이들은 경영난의 원인으로 정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청의 비현실적인 검사기준과 한약재의 유해물질(중금속, 잔류이산화황, 잔류농약 등)을 문제 삼고 있는 언론보도를 염두해 두고 있다. 이에 따라 해외에서는 한약재의 우수성이 점차 알려지고 있는데도 국내에서는 한약재에 대한 국민 불신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날 궐기대회에서 한의약 관련 단체들은 불법·불량 한약재의 유통 근절을 위해 ‘불법·불량 한약재 추방운동본부’를 결성하기로 노력하는 한편, 정부당국이 한약 안전성 확보를 위한 한약안전관리 종합대책을 조속히 수립해 줄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아울러 정부의 한약 정책 준수를 위해서도 적극 노력하기로 했다. 한약제조협회 서울지회 임석준(동의한방제약 대표) 회장은 “일부 한의원과 불법·불량 한약재 유통업체 때문에 한약이 먹어서는 안 되는 위해물질로 간주되고 있어 안타깝다”며 “한약안전관리 종합대책이 조속히 수립돼 국민들이 한약에 대한 신뢰를 다시 회복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