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 코로나 대비 국가 방역체계 전면 개혁해야

[창간56주년 기획2 / 코로나 3년, 다시 뛰는 '바이오헬스'] 신종 감염병 관리대책

기존 코로나 방역 방향 조정을
'중앙 감염병 전문병원' 건립도

최근 코로나19, 사스(SARS), 조류독감, 에볼라, 웨스트나일 바이러스 등 야생동물과 관련된 새로운 형태의 전염병들이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을 신종감염병(Emerging infectious disease, EID)이라고 한다.

이러한 신종감염병은 사회적, 정치적 그리고 경제적 변화와 함께 새로이 발견된 병원체이거나, 옛날부터 존재했지만 새로운 병원성을 획득했거나, 과거에 발생하지 않았던 새로운 지역 또는 새로운 종으로 전파되는 전염성 질병을 말한다.

지난 20년간 신종전염병이 크게 증가한 것은 인간이 자연과 생태계를 변화시킨 것이 그 주원인이라는 견해를 많은 학자들은 밝혀냈다.

신종 감염병 출현 촉진 요인으로는 △도시화, 노령인구·만성질환자·면역저하자 증가 △ 육식 대량 소비에 따른 대량의 밀집 가축 사육 증가 △성 행태 변화, 외부활동·국제여행·약물 복용 증가 △열대·아열대 조류, 파충류, 포유류 밀수 △기후변화 △공업화, 삼림 파괴 등이 꼽힌다.

또 전문가들은 현대인이 항생제를 남용함으로써 내성이 생긴 박테리아를 쉽게 제거하지 못하는 것도 신종감염병 확산을 부추기는 요인이라고도 지적했다. 

이 중에서도 2년 이상 지속된 코로나19는 우리 사회에 큰 영향을 끼침과 동시에 신종플루, 메르스 등 신종 감염병재난이 계속해서 이어질 것이라는 사실까지 알려줬다.

의료계에 따르면 영악한 바이러스는 사람을 죽게 하지 않고 세포 속에 숨어있다 발현하는 방식으로 진화한다. 앞으로 다가올 신종바이러스들은 전파력은 높고, 치명률이 낮은 형태가 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최근 코로나 사태만 보더라도 치명률이 높은 '델타'에서 전파력이 높은 '오미크론'으로 변화한 것만 보더라도 알 수 있다.

이에 의료계는 앞으로 다가올 신종감염병 재난에 대비하기 위해선 코로나19 방역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시급히 개선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또 현재진행형인 코로나 사태를 기점으로 영악한 바이러스, 즉 진화하는 신종감염병에 대비해야한다는 전문가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상황.

특히 국가 감염병 대응체계를 전면 개혁해  코로나19 이후 닥쳐올 새로운 감염병 위기에 대비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요청이 이어지고 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지금까지 코로나19 대응체계는 의료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데 실패했다. 방역과 의료의 개념을 명확히 구분하지 못했다는 의견도 나왔다. 특히 '중앙감염병병원'이 지휘하는 유기적인 감염병 대응체계가 없어 사회적 비용과 국민건강 피해가 확대됐다는 아쉬움도 크다.

중앙감염병병원은 신종감염병 및 고위험 감염병 대응을 지휘하는 핵심 의료기관이다. 앞서 2015년 메르스 사태를 계기로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국가방역체계 개편방안의 일환으로 정부가 설립·운영을 추진 중이다.

현재는 국립중앙의료원이 보건복지부 고시에 따라 임시적으로 중앙감염병병원 역할을 수행 중이다. 국립중앙의료원이 정식 중앙감염병병원으로 지정되려면 시설, 장비, 인력, 병상 등을 대폭 확충해 고시의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팬데믹에 대한 이해 부족 △현장에 대한 이해 부족 등이 한계점으로도 나왔다. 사회, 정책, 전문가, 언론 등 다양한 영역에서 팬데믹을 정확히 이해하고 대응하지 못했기 때문에 감염병 확산 초반에 유효했던 전략을 후반까지 고수한 측면이 있다는 분석이다. 또한 정책 결정자가 브리핑실 등에서는 파악하지 못하는 요양시설, 병원의 상황에 대한 관심이 부족했다는 문제점도 컸다. 

의료계는 지정 병원 중심 체계로 대응한 것이 결정적 오류라고 지적한다. 코로나19 확산 초기부터 코로나19 확진자들을 보편적 의료체계를 통해 관리했다면, 확진자가 하루 60만명까지 발생하는 상황에서도 보다 효율적으로 피해를 축소할 수 있었다는 분석이다.

팬데믹은 의료자원 확보량 대비 수요가 넘치는 상황이 기본값임을 전제로 대응 전략을 모색해야 하며, 민간의료기관이 95%, 공공의료가 5%의 비율로 존재하는 우리의 보건의료 체계와 자원에 적합한 대안이 필요하다는 제언도 나온다. 

이에 정부는 지난달 27일 정부는 코로나19 재유행 또는 신종 감염병의 발생에 선제적·체계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중앙감염병전문병원 건립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신종 감염병에 대해 선제적으로 위기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중앙감염병전문병원 건립을 신속하게 준비하고 있다.

중앙감염병전문병원은 국립중앙의료원에 설치되는데, 서울시 중구 방산동에 있는 미군 공병단부지에 신축될 예정이며, 올 하반기 설계를 공모해 2024년까지 설계를 마치고 곧바로 착공해 2027년에 완공한다는 계획이다. 

이 외에도 정부는 코로나19와의 싸움에서 얻은 경험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의료계는 신종감염병을 효과적으로 통제하려면 방대한 정보 수집과 분석 작업이 신속하게 이뤄져야 한다고 제안한다.

세계 각국은 특정 질병의 발병, 감염 경로 추적, 예상 확산 시나리오 등을 알 수 있는 분석 모델 개발에 집중 투자하고 있어 국내 역시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김아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