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대면진료 확대' 실효성 논란

[데스크칼럼]

일상회복을 위한 전 사회적인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코로나19 확진자의 대면진료 병원도 점차 늘어날 전망이다. 확진자가 모든 동네 병·의원에서 코로나 이외의 진료도 받을 수 있도록 의료체계가 전환됐기 때문이다.

앞으로는 기존 호흡기 의료기관 위주에서 골절, 외상 등 비(非)코로나 질환을 치료하는 의료기관도 확진자 외래진료센터 지정을 신청할 수 있다. 여기에는 한의원도 포함된다.

이처럼 코로나 확진자의 대면 진료가 동네 병·의원까지 확대되고 있지만, 약 수령은 여전히 대리인 수령이 원칙이다. 병·의원에서는 진료시간·공간 분리를 통해 확진자와 비확진자의 동선을 조절할 수 있지만, 약국의 경우 어렵다는 것이 그 이유다.

방역당국은 개선안을 논의 중이라고 밝혔지만, 약국가의 반발은 거세다. 확진자가 병원 진료는 받을 수 있는데 약국 출입은 안 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확진자가 대면진료 후 약국을 방문한다 해도 막을 방법이 없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됐으며, 약국의 별도 조제수가도 지나치게 낮다는 주장도 나왔다. 병의원과 함께 약국도 코로나 감염병 관리의 중요한 한 축인데, 유독 약국에 대한 정부 지원은 부족하다는 토로다.

의료계는 의료계대로 정부의 사전 협의 없는 발표로 즉각적인 현장 대응이 어렵다는 불만을 쏟아내고 있다. 외래진료센터 신청을 위해 병원 공간 분리나 추가적인 의료인력 확보도 쉽지 않지만, 코로나 환자 진료에 대한 감염위험도 부담이라는 것이다.

이에 대해 대한의사협회 관계자는 "코로나19 확진자들의 호흡기 관련 대면진료는 필요하지만, 모든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한 대면진료 전환은 비코로나 환자뿐만 아니라 의료진 입장에서도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단계적인 의료체계 전환을 요구했다.

대면진료 대상에 한의원이 포함된 것에 대해서도 강력 반박했다. 한의원에서 확진판정을 받은 환자가 중증으로 이환될 경우 치료를 위해서는 다시 병의원 진료를 받아야 하기 때문에 한의원 대면진료 자체가 비효율적이라는 주장이다.

국민들도 불안하기는 마찬가지다. 확진자 대면진료 허용에는 공감하지만 비감염자의 감염 우려는 더욱 커졌기 때문이다. 확실한 공간 분리가 보장되지 않을 경우 병원 방문조차 꺼려질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여기에 확진자와 비확진자의 진료시간이나 공간적 동선이 겹치지 않는지에 대해 철저한 관리가 이뤄질지에 대한 회의적인 시선도 여전히 존재한다.

국민 보건과 관련된 문제라면 철저한 사전 준비와 사후관리는 절대적이다. 현장에서 발로 뛰는 관련 직역단체들과의 의견수렴은 필수다. 최소한의 위험도 허용하지 않겠다는 철저한 대책이라야 국민들도 설득할 수 있다.

대책은 나왔는데 여기저기서 불만이 쏟아진다면 모두를 위한 대책이 맞기는 한건지 되돌아 볼 필요가 있다. 물론 부족한 부분은 신속하게 보완해야 한다. 각 직역단체들과 국민들 또한 무조건적인 반대보다는 한 발 뒤에서 전체를 살피는 관용도 필요하다.

전 사회적인 공동체 의식이야 말로 지금 이 순간 필요한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모두를 위한 최선의 방법을 찾을 때, 코로나에 맞서는 우리의 대처능력도 빛날 것이다. 


김혜란 편집국장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