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령화 시대가 다가오면서 간호의 역할이 중요시되는 만큼 간호사들이 세계와 교류하고 발전해 나가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오의금 연세대 간호대학 학장은 11일 연세대학교 알렌관 청솔홀에서 오는 19일 개최 예정인 제2회 국제학술대회(Yonsei International Nursing Conference) 관련 기자간담회를 갖고 이같이 밝혔다.
오의금 학장은 “올해는 연세대 간호대학이 115주년을 맞이한 해로 국내를 넘어 국제 간호계를 선도할 것"이라며 "2021 국제학술대회를 통해 우리 지식과 경험을 전 세계와 공유하고, 미래 간호가 나가야 할 방향에 대해 모색하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특히 오 학장은 간호 분야가 낼 수 있는 무궁무진한 시너지를 이제는 적극 알려야 할때라고 강조했다.
이에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주도하는 미래 의료환경에서 간호 역할과 전망을 제시한다. 또 전체적인 학술대회 프로그램은 정밀의료시대에 간호가 어떻게 발전해야 하는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YINC는 연세 간호대학과 UIC, 존스홉킨스 대학 등 MoU를 맺은 세계 11개 기관과 공동 주관한다.
오 학장은 "2년에 한 번 개최하는 국제학술대회는 올해가 두 번째로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온라인으로 진행된다"며 "이번 학술대회는 미국, 일본, 중국, 가나, 인도, 타이완, 홍콩, 몽골을 포함 총 10개국, 500여명의 간호교육자와 간호사 등이 참가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우선 주제 강연으로 Mary K. Wakefield 교수는 'Future of Nursing 2020-2030'을 주제로 위드코로나 시대에서 도출된 건강 불평등을 해소하는데 간호가 어떤 역할을 해야할지, 간호분야가 어떤 기술 활용해야할지에 대해 소개한다.
또한 콜롬비아 대학 Suzzane. B. Bakken 교수는 'Precision Healthcare with Data Science in Nursing Research and Education'을 주제로 정밀의료(Precision Healthcare)를 넘어 정밀간호를 이루기 위해 환경 영향, 식생활, 개인 건강습관 등 다양한 개인 건강행동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법을 설명코자 한다. 눔코리아 김영인 대표는 'Precision medicine in Global Consumer Mobile Healthcare'을 주제로 헬스데이터를 응용한 산업 동향을 강연할 계획이다.
두 번째 세션은 노인친화기술(Gerontechnology)을 주제로 펜실베니아 대학 Kathryn H. Bowles 교수의 'Innovative Clinical Decision Support for Older Adults and Entrepreneurship in Nursing', 버지니아 연방대학 정제인 교수의 'Using Voice-Assisted Technology to Support Aging in Place'가 준비돼 있다.
다음으로 '간호연구와 빅데이터'를 주제로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김정연 교수의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of Big Data Utilization in Nursing Research: A Statistician’s Perspective' 강연과 '간호연구의 혁신'을 주제로 홍콩대학 Doris Yu Sau Fung 교수의 'Advancing Cardiovascular Disease Management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in Healthcare', 오테마에 대학 Hiromi Fujii 교수의 'Midwifery for Women Who Have Special Needs on Physical and Social/Mental Health' 발표가 진행된다.
더불어 연세대학교 박정옥 교수의 'Innovation in IV Fluid Monitoring Device for Quality Care' 강연에서는 간호 역량을 발휘한 제품 발명과 특허 사례가 소개될 예정이다.
이외에도 총 9가지 주제(Global & Community Health, Aging Initiative, Innovative Technology & Informatics in Nursing, Symptom Science & Management, Evidence-Based Nursing & Nursing Practice, Education, Leadership & Management, Others)로 E-Poster 발표가 진행돼 활발한 연구의 교류 시간이 마련될 계획이다.
오 학장은 "연구자, 실무자를 비롯 각 간호대학 학생들도 관심을 갖고 꾸준히 참여하고 있다. 자기 개발을 위해 노력하는 간호사가 많아 뿌듯하게 생각하고 있다"며 "더 많은 간호학생과 간호사가 역량을 충분히 개발할 수 있도록 이러한 기회를 확대하고자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