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약재의 중금속 오염에 대한 우려가 심각한 가운데 최근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이 한약재 600개를 대상으로 납, 카드뮴, 비소, 수은 등 네 가지 중금속 농도를 모니터링한 결과 오염도가 수입산이나 국산 가릴 것 없이 모두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정진영 연구원이 지난 2005년부터 2006년까지 식품의약품안전청 용역으로 수행한 ‘한약재 품질기준 확립 및 유해물질 모니터링․가용 섭취율 분석 연구’에 따르면 한약재 1품목당 10개씩 총 600개를 대상으로 납, 카드뮴, 비소, 수은 등 중금속 농도를 측정한 결과 전체의 15.5%인 69품목이 허용기준을 초과했다. 연구팀은 네 가지 중금속 기준을 초과한 총 93개 약재 중 72개(77.4%)는 중국산으로, 중국산 한약재가 국산에 비해 중금속에 더 많이 오염된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그러나 수은 기준을 초과한 약재 13개중 7개가 수입산, 6개가 국산으로 파악됐으며, 수은 농도가 가장 높은 약재 5개는 모두 국산인 것으로 조사됐다고 설명했다. 카드뮴 기준치를 초과한 69개 약재중 78,3%인 54개의 원산지는 중국이었으며, 납의 경우 5ppm을 초과한 부적합 약재 10개중 9개가, 비소는 4개 전부가 중국산이었다. 카드뮴은 허용 한계치인 0.3ppm을 넘는 약재가 무려 69개로 전체 부적합 건수의 74.2%에 달할 만큼 다양한 약재들이 카드뮴에 오염된 것으로 조사됐다. 국산과 수입산을 합쳐 네 가지의 중금속이 모두 높은 농도로 검출된 약재는 당삼, 백출, 시호, 창출, 황련, 파극천, 오약, 위령선, 아출, 자소자 등 10종이었다. 반면 네 가지의 중금속 모두 기준치 이하로 비교적 오염이 덜한 약재는 갈근, 강활, 결명자, 길경, 맥문동, 석창포, 감초, 산약, 작약, 진피, 승마, 오가피, 연교, 연자육, 신이, 익지, 백자인, 해동피, 옥촉서예, 감국 현삼, 지실, 고삼, 청피, 포공영, 관동화, 대복피, 초과, 복분자 등 총 29종이었다. 연구팀은 국산 한약재의 수은 농도가 높은 것과 관련 “수은의 경우 국내 오염이 문제가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한약재 재배과정에서 오염 여부와 포장, 약재 전처리 등 유통과정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중금속에 비해 기준치 초과가 빈번한 카드뮴에 대해서는 “많은 한약재에서 허용치보다 높게 나오고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뿐 아니라 오염경로 및 원인파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중금속 모니터링과 별도로 410개 한약재에 대해 잔류농약을 분석한 결과 29개 약재에서 농약이 검출됐으며 그 가운데 21건이 국산이었다. |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