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마티스 관절염 치료 최신 트렌드와 전망은

"새 기전의 항류마티스제 등장으로 치료전략 진보"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RA)은 관절의 활막염을 동반하는 전신적인 자가 면역 질환으로 관절 증상 외에도 관절 외 발현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적 질환이다.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중 약 40%에서 관절 외 증상을 보이며 질병활성도가 높을수록 동반질환 발생률도 높다.

동반질환을 가진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사망률은 일반인구 또는 관절 외 증상이 없는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 비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RA 환자의 장기적 예후 개선 측면에서 면역학적 접근을 통한 동반질환 관리 등 RA 치료 패러다임 변화가 고려되는 시점이다.

현재 생물학적 항류마티스제제(bDMARDs)는 염증성 관절염을 치료하는 주 치료 옵션으로 자리잡고 있고, 진료 현장에서 류마티스 관절염 및 강직성 척추염, 건선 관절염 환자 등에 매일 처방되고 있다. 하지만 생물학적 항류마티스제제를 투약 받는 환자의 기저 동반질환과는 별개로 약물 이상반응이 빈번히 보고되고 있어 이상반응 규명의 중요성이 더해지고 있다.

서울대학교 보라매병원 류마티스내과 신기철 교수

최근 대한류마티스학회는 대한류마티스학회 산하 임상연구위원회가 주도하여 전국 규모의 등록 연구로써 생물학적제제를 사용하는 기간 동안 발생한 약물의 이상반응 및 약물 유지율을 조사하는 KOBIO(Korean College of Rheumatology Biologics and Targeted Therapy) 레지스트리 연구를 진행했다.

이번 KOBIO 레지스트리 리얼월드 연구를 주도한 서울대학교 보라매병원 류마티스내과 신기철 교수를 통해 국내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실제 사례 분석과 생물학적제제의 치료 효과와 안전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Q 류마티스 관절염 질환 특성과 유병률은

전신에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 염증질환으로 관절염 외에도 피로감, 체중 감소, 안구 및 구강 건조, 기관지염 등 관절 외 임상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관절염은 손, 발, 어깨, 무릎, 팔꿈치 등 관절 양쪽에 나타난다. 유병률은 우리나라는 0.5% 정도로 알려져 있다.

Q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치료약물은 무엇인지

류마티스 관절염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치료는 스테로이드, 소염진통제가 아니라, 질병개선 항류마티스제(disease modifying anti-rheumatic drug, DMARD)인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MTX)로, 1주일에 한번 복용하는 약물이다.

Q 항류마티스약제는 표적합성 항류마티스제와 생물학적 항류마티스제로 나뉜다고 하는데, 작용 기전 및 효과나 안전성 측면의 차이는

합성 항류마티스제 (conventional synthetic DMARD)와 생물학적 항류마티스제(biologic DMARD, 이하 생물학적제제)로 나눌 수 있다. 합성 항류마티스제는 대표적인 MTX(메토트렉세이트)와 같은 고전적인 합성 항류마티스제와 표적 합성 항류마티스제(targeted synthetic DMARD) 나뉜다.이중 생물학적제제는 염증 매개 물질인 TNF을 억제하는 항TNF제제군과 염증매개물질인 IL-6의 수용체의 작용을 억제하는 토실리주맙, 면역반응에 기인하는 T세포의 작용을 억제하는 아바타셉트, 구조적, 생물학적 동등성을 생물학적제제인 바이오시밀러가 있다.안정성 측면에 있어서는 제제별 차이가 크지 않으며, 주사 반응, 감염질환 등이 발생하는지 잘 관찰해야 한다.

Q 이번 KOBIO 레지스트리 연구의 리얼월드 데이터에서 확인된 약물 유지율이 높은 약제는 생물학적 항류마티스제제는 어떤 약제인가

류마티스 관절염의 생물학적제제 약물 유지율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다양하며, 이 중 한가지로 남성에서 여성보다 유지율이 높다. 게다가 최근까지 우리나라에서 사용이 승인된 생물학적제제 종류가 10 종류를 넘기 때문에 수년전보다 약물 유지율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지금 말씀드릴 수 있는 것은 장기간 사용하면서 약제에 대해 체내에 항체가 생기게 되며, 항체가 더 잘 생길 수 있는 제제는 약물 유지율이 타제제보다 낮다.

Q 65세 이상의 고령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경우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들의 계열별 효과에도 차이가 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오렌시아(성분명 아바타셉트)의 경우 어떤지

고령 환자에게 생물학적제제를 사용하는데 더 주의가 필요하며, 리얼월드 데이터를 보면 오렌시아가 선호되는 제제 중에 하나다. 오렌시아의 특징은 타 제제에 비교하여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면역반응을 차단하는 기전이 다른 바, 특정 염증 매개 물질을 억제하지 않아 자가면역반응을 진화한다는 볼 수 있다. 그렇지만, 이 역시 고령에서 이상반응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잘 추적해야 한다.

Q 앞으로 주요하게 나타날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 트렌드에 대한 전망은?

효과가 입증돤 새로운 기전의 항류마티스제 및 치료전략의 발전으로 수년마다 치료지침은 바뀌고 진보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제한된 의료자원을 고려하여 약물의 경제성 평가는 지속적으로 필요하며, 학회 및 류마티스내과 분과전문의, 환우회, 그리고 보건당국의 협력과 소통을 통해 류마티스관절염이 더 조기에 발견되고 치료를 시작한다면, 일찍이 관절염이 조절되고 관해(remission)가 올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홍유식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