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 데이터·인공지능 활용방안에 대한 논의가 한창인 가운데 공공과 민간에 산재돼 있는 데이터 활용을 위해 인공지능 활성화와 거래중개 및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중개분양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의료정보원은 지난 22일 남대문 코트야드 메리어트 호텔에서 ‘제1차 보건의료데이터 혁신포럼’을 개최하고 보건의료데이터와 인공지능이 열어가는 미래의료와 중장기 전략에 대한 기조 발표 이후, ‘의료 인공지능 활성화’, ‘데이터 중개·분양’ 등 핵심과제 위주의 심층 토의가 진행됐다.
이날 발제자로 나선 건양대학교 김종엽 교수는 의료인공지능 창업기업(스타트업) 현장에서의 핵심 이슈를 제시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전 주기적 지원체계를 제안했다.
의료기관 등의 폐쇄적 행태, 병원 내 연구 공간 부족으로 창업기업 등에서 고품질 데이터 확보가 어려운 문제에 대해 데이터 심의위원회 운영 등 복잡한 데이터 활용절차를 재정립하고, 데이터 기부 문화를 확산하는 등 활용 환경 조성을 제안했다.
의료기기 인허가 및 신의료기술평가 등 절차를 알기 어려워, 검증되지 않은 의료인공지능 기기가 현장에 유통되는 것 또한 큰 문제라고 지적하면서 창업기업 대상으로 개발 초기 단계부터 인허가제도 관련 컨설팅을 포함한 전 주기적 지원을 제공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의료기관 내 인력과 인프라 부족으로 인해 의료기관 중심의 임상 실증지원이 어렵다는 문제점에 대해서는 인력 및 인프라 보강과 함께, 의료기관 임상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실증이 가능하도록 인센티브 제공방안을 제안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여나금 박사가 발제한 ’보건의료데이터 활용혁신을 위한 중개·분양 체계 구축‘에선 민간 중심의 데이터 활용 생태계 조성을 위한 단기-중기-장기 관점의 보건의료데이터 중개·분양 체계 구축 방향을 제시했다.
공공·민간에 산재되어 있는 데이터의 유형, 보관위치, 이용방법 등이 불명확하여 수요자 접근이 어려운 점에 대해, (가칭)보건의료데이터 컨설턴트를 양성해 활용 자문, 제공자-사용자 거래 중개, 기술지원 등을 수행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데이터 공급자(의료기관, 공공기관 등)의 공개 기피, 안전한 활용에 대한 신뢰 부족 등으로 데이터 확보가 어렵다는 것 또한 큰 문제로 지적하면서 데이터 품질관리, 데이터 연계ㆍ결합, 데이터 보호ㆍ보안 환경, 컨설팅ㆍ서비스 역량을 갖춘 데이터 보유ㆍ활용 선도기관을 중심으로 안심분양센터를 지정ㆍ운영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또 통합분양센터 구축으로 공공분야 안심분양센터를 통합ㆍ연계하고, 민간을 중심으로 한 안심분양센터의 활용통제 프로토콜을 구축함으로써 데이터 질 관리, 가치평가, 사후관리, 분쟁조정 등 분양 과정 전반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강도태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빅데이터 구축과 활용 생태계 조성에 역량과 자원을 집중하고, 모든 사람이 데이터 활용의 혜택을 누리며 성과를 체감할 수 있는 국가전략을 마련해야한다”면서 “이번에 논의된 핵심과제 및 대안에 관한 전문가 의견을 수렴해 중장기 전략을 보완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