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방문은 보건복지부가 국립의료원에서 성분명 처방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국공립 의료기관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힌데 따른 것이다. 김 회장대행은 이날 장윤철 상근부회장 직무대리와 함께 강재규 국립의료원장을 만난 자리에서 “성분명 처방은 생물학적동등성 입증이 명확하지 않은 현재 상황에서 도입될 경우 자칫 의약품을 복용하는 환자들의 질병을 호전시키지 못하거나 오히려 증세를 악화시킴으로써 국민 건강에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밖에 없다”면서 “국공립병원은 물론 전 의료계가 이 같은 정부 사업에 대해 심각하게 우려하고 있다”며 “성분명 처방에 대한 강력한 반대 입장을 전했다. 김 회장 대행은 이어 “성분명 처방을 위한 제반 여건이 조성되지 않았는데도 복지부가 대통령 공약사항이라는 이유만으로 성급하게 사업을 추진하려는 점은 유감스럽다”며 “국립의료원의 시범사업이 국가 의료에 미치는 영향이 큰 만큼 시범사업과 이후 추진과정에서 의료계의 입장을 적극 반영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에 대해 강 의료원장은 “복지부 공무원으로 있지만 동시에 진료하는 의사이기 때문에 의료계의 입장을 십분 이해한다”며 “앞으로 기회가 있을 때마다 복지부에 성분명 처방을 충분한 시간을 두고 철저한 검증을 거쳐 신중히 추진해야 한다고 적극 건의하겠다”고 말했다. |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