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바이옴, 대체식품‧메디푸드 집중 육성

정부 '그린바이오 융합형 신산업 육성방안' 발표

정부가 빅데이터와 바이오기술(BT), AI 관련 기술을 융합해 그린바이오 산업을 새로운 혁신성장 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생명공학기술 등 첨단기술의 발전으로 생명자원을 활용하는 그린바이오 산업을 미래 핵심산업으로 인식하고, 농어업 문제, 환경, 건강, 질병치료 등 경제사회적 문제 해결뿐만 아니라 혁신성장과 일자리도 창출하겠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10개 부처·청이 마련한 그린바이오 융합형 신산업 육성방안21일 개최된 제3차 혁신성장전략회와 제36차 경제장관회의에서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그린바이오 융합형 신산업 육성방안은 그린 바이오 산업을 2030년까지 2배 이상으로 키우기 위한 체계적인 전략과 이행계획을 담고 있으며 핵심기술개발 빅데이터 인프라 그린바이오 사업화 전주기 지원 그린 바이오 융합 산업 생태계 구축을 중점과제로 추진한다.

이를 토대로 마이크로바이옴 대체식품메디푸드 종자 동물용의약품 기타 생명소재(곤충, 해양, 산림)5대 유망산업 분야로 육성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그린 바이오 산업기반 구축과 생태계 조성

정부는 그린 바이오 산업기반 구축, 기업 전주기 지원(기술, 자금, 시험평가, 시제품)과 선순환 생태계 조성 등을 중점과제로 추진한다.

그린바이오 산업 5대 유망분야를 중심으로 핵심기술을 선정하고, 기술개발 로드맵을 마련할 계획이다. 5대 유망 분야 핵심기술에 대해서는 중장기 R&D를 추진해 선진국 수준의 기술을 확보한다.

또 유전체와 기능성분 정보 등 분야별 빅데이터를 기업의 요구수준에 맞게 구축하고, AI 기술 등의 활용을 지원한다. ‘국가 바이오 데이터 스테이션(빅데이터 플랫폼)’에 그린바이오 연구 데이터를 수집해 연계하고 슈퍼컴퓨팅센터, 유용미생물은행 등 빅데이터 활용 인프라를 구축한다.

그린바이오 관련 시설·장비를 확충하고 융합형 인재도 양성한다. 마이크로바이옴, 식품, 종자 등 분야별 지원기관을 통해 인프라 및 솔루션을 지원하고, 유관기관이 보유한 시설장비를 연구장비포털에 등록해 활용도와 접근성을 제고한다. 이밖에 특수대학원 등의 설립(박사급 연구인력)과 그린바이오 석사과정 계약학과 개설(산업인력) 등을 추진해 전문인력도 양성한다.

그린바이오 기업을 대상으로 전주기 지원을 추진한다. 그린바이오 기업을 인증(확인)해 연구, 자금 지원 등을 우대하고, 발전 가능성이 있는 유망 제품기업에 대해서는 연구개발부터 사업화까지 패키지(연구개발, 컨설팅, 시제품 생산, 시험평가 등)로 지원한다.

고비용장기간이 소요되는 임상, 대량생산 등의 작업을 위탁할 수 있도록 임상대행기관(CRO), 제품생산대행기관(CMO)을 육성해 나간다.

지역별로 특화된 그린바이오 산업 육성을 위해 산업 생태계를 구축한다. 그린바이오 중점 육성지역을 선정해 연구기관기업의 집적화를 유도함으로써 산연과 시장이 상호 연계되도록 지원하고, 창업기업 보육을 위한 사무실 임대, 연구시설·장비, 네트워킹 공간 등을 제공하는 그린바이오 벤처 캠퍼스건립을 검토한다.

또 신수요 창출을 위해 공공기관 우선구매 제도 도입 검토와 수출지원(수출 대상국 내 제품등록, 안전성 시험 지원 등)을 확대한다.

대체식품, 메디푸드, 생명소재 등 중점 육성

정부가 그린바이오 산업 기반을 토대로 집중 육성할 5대 유망산업 분야는 마이크로바이옴 대체식품메디푸드 종자 동물용의약품 기타 생명소재 분야다.

마이크로바이옴은 프로바이오틱스, 생물농약·비료·사료첨가제와 환경 분야를 중점 육성한다.한국인 표준 장내 미생물 정보, 식품용 미생물 유전체 DB를 구축하고, 맞춤형 식품설계 기술(AI 등 활용), 유익균(대사산물 포함) 소재 발굴, 효과 검증 등 산업화를 지원한다. 마이크로바이옴에 기반한 생물비료·농약, 사료첨가제, 난분해성 폐기물(폐비닐 등) 처리제 등의 개발을 지원하고 제도를 개선한다.

대체식품메디푸드는 핵심기술 개발과 시장 창출에 집중한다. 대체식품 핵심기술이 선진국 수준을 발전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대체식품 안전관리기준을 마련한다. 기능성 신소재(난소화성)와 맞춤형 식이설계 알고리즘 개발 등을 통해 질환자·고령자를 대상으로 하는 메디푸드를 활성화한다.

종자산업은 앞으로 디지털기반 산업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유전자 가위, 디지털 육종 등 신()육종 기술에 집중 투자하고, 기업체가 신()육종 기술을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컨설팅, 유전체 분석, 병리검정, 기능성분 분석 등을 지원한다.

동물용의약품은 동물백신 개발과 줄기세포 활용 지원을 강화한다. 단백질 재조합 기술 등을 활용한 동물백신의 구개발과 상용화를 지원하고, 시험평가와 제품 생산을 지원한다. 인의학 분야 줄기세포 기술의 동물 분야 융합활용을 위해 인수 공동 R&D를 확대하고, 동물 줄기세포 은행 활용을 지원한다.

곤충, 해조류, 산림소재 등 기타 생명소재 산업도 유망산업으로 지원한다. 곤충 스마트 사육 시스템 지원과 개선을 추진하고, 홍합해조류 등을 활용한 건강기능식품과 의료소재 등의 개발상용화를 지원한다.

정부 관계자는 "그린바이오 산업을 미래성장 잠재력이 높은 바이오 분야 핵심산업으로 인식하고, 그린바이오 산업 발전을 통해 신시장 확대와 일자리 창출을 극대화함으로써 그린바이오 산업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이끌어갈 혁신성장의 선두주자가 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육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원식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