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세대 농식품 주요 구매층으로 떠올라

농촌진흥청 ‘2020 농식품 소비트렌드 발표대회’ 개최

2030세대들이 농식품의 주요 구매층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들은 특히 가공식품과 축산물 구매에서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지난 10년간의 농식품 소비 형태가 젊은 소비, 건강 중시, 간편 소비, 먹거리구매 장소 다양화로 변화해 왔다고 밝혔다. 이번 자료는 ‘2020 농식품 소비트렌드 발표대회의 일환으로 2010년부터 2019년까지 10년간 누적된 전국 1486가구의 가계부를 분석한 결과에 따른 것이다.

2030세대 젊은 층이 농식품 구매의 새로운 소비층으로 급부상 한 점이 주목할 만하다. 20대의 농식품 구매액은 68%, 30대는 30% 증가했고 특히 축산물과 가공식품 구매증가 추세가 두드러진다. 2030세대의 축산물 구매비중은 46.3%, 4050세대의 35.7%보다 약 10%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대의 가공식품 구매액도 지난 10년간 76% 증가한 수치를 보였다.

건강 중시하는 경향 뚜렷

농식품 구매 시 주요 고려사항은 안전한 농식품, 건강 증진, 영양성분 등으로 나타나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 유행을 반영하는 결과를 보였다.

특히 60대 이상 소비자들이 건강에 높은 관심을 보인 가운데 이 연령층에서 지난 10년간 블루베리 59%, 견과류 31%, 죽류 31% 소비가 늘었다.

신선 편이 식품, 미니 농산물, 시판 김치, 가정간편식 등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는 농식품 구매가 증가하고 있다.

전 세대에 걸쳐 즉석밥, 즉석식품 및 냉동식품의 구매가 증가했으며, 2030세대를 중심으로 반찬류(37%)의 구매액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먹거리구매 장소 다양화

당도 표기상품, 비선호 부위 등 새로운 구매 품목이 등장하고, 온라인 시장 성장으로 구매 장소가 다양해지고 있다.

참외, 수박 등 과채류를 중심으로 당도 표기상품의 구매가 늘고 있으며, 돼지 앞다리 등 기존 비선호 부위 구매가 늘고 있다. 편의성을 중시하는 소비 성향에 맞춰 전통시장대형마트슈퍼마켓 이용 구매는 줄고 온라인직거래 구매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은 최근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는 농식품 가공시장의 주요 품목을 살펴보고, 가공시장 확대에 따른 대응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가구당 가공식품 구매액은 2015년 월 146000원에서 201917 5000원으로, 20%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가 많이 찾는 가공형태는 과일의 경우 음료, 채소는 반찬류, 곡류는 간식류로 나타났다.

과일은 복숭아사과 주스, 채소는 시판 김치, 깻잎 반찬, 녹즙의 소비가 증가했다. 곡류는 가공밥, 쌀 과자 구매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가공식품 개발 필요성 커져

가격변동에 민감한 채소의 경우 통조림 등 새로운 저장법 개발을 활용한 제품 개발이 필요하다. 또 다양한 가공식품군 개발로 시장 확대에 대응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특히 곡물서류 등을 중심으로 프리미엄화와 다양한 가공식품 개발로 성장 가능성이 보인다는 분석이다. 건강중시, 소비편의의 키워드와 맞물리면서 곡물 간식류, 죽류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맞는 농업 R&D 지원이 함께 추진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발생으로 소비자의 농식품 구매 형태에도 눈에 띄는 변화가 드러나고 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동네 슈퍼마켓과 온라인 구매는 증가한 반면, 대형마트 구매는 감소했다.

가정 내 조리 횟수가 늘어나면서 비교적 손쉽게 조리, 취할 수 있는 농식품 및 저장 기간이 긴 상품의 수요가 늘고 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국산 농산물의 선호도가 높아졌다는 응답이 33.5%로 나타나 국내산 소비 확대 가능성을 확인했다.

허태웅 농촌진흥청장은 생산이 소비로 직결되던 과거와 달리 현재는 소비자의 선택을 받는 농산물만이 시장에서 살아남는 시대가 됐다라며 “‘10년간의 변화를 통해 살펴 본 농식품 소비 과거와 미래이야기를 통해 농식품 소비 형태를 두루 살피고 그 대응방안을 깊이 있게 모색해보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2020 농식품 소비트렌드 발표대회는 농촌진흥청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누구든지 시청할 수 있으며, 품목별 영상자료집은 행사당일 농촌진흥청 농사로 홈페이지에 게시된다.

 

 


이원식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