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세계 3대 화장품 수출국가로 도약할 것”

맞춤형화장품 제도 신설·제조자 표기의무 삭제 …아세안 수출비중 20%까지 확대

정부가 국내 화장품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세계 3대 화장품 수출국가로 도약한다는 청사진을 발표했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제96회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를 주재하고 ‘미래 화장품산업 육성방안’을 심의·확정했다.

정부의 이번 대책은 2022년까지 △화장품산업 수출 확대와 수출국 다변화를 통한 경제활력 제고 △브랜드로 경쟁하는 글로벌 리딩기업 및 강소기업 육성 △맞춤형 화장품 시장 창출 등을 통한 신규 일자리 7만3000개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미래 화장품산업 육성방안 비전과 전략]

정부는 먼저 현장 수요를 반영한 연구개발을 확대해 화장품 기술 경쟁력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기초소재 개발, 피부과학 응용연구(항노화 물질‧ 기술 개발 등), 새로운 제형 기술개발에 중점을 두고, 내년 정부 예산안에 77억원을 편성하는 등 연구개발(R&D)지원을 확대한다는 것.

이를 통해 세계 수준 대비 86.8%인 국내 화장품 기술수준을 2022년까지 90%로 높이고, 현재 수입에 상당부분 의존하고 있는 자외선 차단소재 등 화장품 기초소재 개발에 적극 나선다.

정부는 또 규제혁신으로 맞춤형 화장품시장을 창출하고 브랜드 경쟁력을 높이는 데 주력한다. 내년 3월 시행되는 맞춤형화장품 제도를 위해 원료 혼합·소분 및 품질관리를 담당하는 ‘조제관리사’제도가 도입돼 신규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기업의 혁신 기술을 보호하고 브랜드 중심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 그간 업계의 요청이 높았던 제조자 표기의무 삭제도 추진한다. 제조자 표기의무는 화장품 용기에 책임판매업자 외에 제조자까지 표기돼 해외기업에 제조자 정보가 공개되고 이로 인해 중소 브랜드의 경쟁력이 약화 되는 문제를 막고자 업계에서 지속적으로 건의해 왔던 사안이다.

현재 국회에 계류돼 있는 화장품법이 개정되면, 제조자 표기의무가 자율화돼 이러한 문제들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화장품 수출시장을 중화권 중심에서 신흥국가로 다변화하는 데도 적극 나설 예정이다. 아세안 등 신흥 유망국가를 대상으로 국내 화장품 입지를 강화하고, 중소기업의 신흥국가 진출을 확대하기 위해 팝업부스 설치, 홍보·판매장 설치 사업을 확대하고, 현지 화장품 체험카페나 편집숍 등 오프라인-온라인 유통망과 연계해 홍보와 판촉 효과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화장품산업 육성 목표]

특히 온라인 시장을 중심으로 화장품 유통구조가 재편되고 있는 점을 감안해 SNS, 인플루언서를 통한 홍보도 강화할 방침이다. 우리나라를 찾는 외국인들이 국내 화장품을 한 장소에서 보고, 체험하고, 구입할 수 있도록 명동·강남 등 중심상권에 ’K-뷰티 홍보관‘이 설치된다.

아울러, 세계 4대 박람회에 버금가는 국가 차원의 대규모 ’화장품 박람회‘를 개최해 K-뷰티 브랜드의 글로벌 입지를 강화하고, K-POP과 연계한 글로벌 한류행사 및 한류 콘텐츠 채널 등 한류 플랫폼을 활용해 K-뷰티 홍보효과를 높일 예정이다.

이와 함께 정부는 해외의 한류편승기업에 대한 대응도 강화한다고 밝혔다. 해외에서 성행하고 있는 소위 ‘짝퉁기업’으로 인한 브랜드 이미지 실추 우려에 대해 범정부적으로 대응을 강화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K-뷰티 클러스터 구축 등 지원체계를 강화해 강소기업 육성에도 주력한다. 화장품 생산, 신기술 연구개발, 뷰티서비스를 포함한 전문교육, 중소기업 컨설팅 등이 한 곳에서 이뤄질 수 있는 K-뷰티 클러스터를 구축해 K-뷰티 산업육성을 위한 대표 거점을 마련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민·관 협의를 거쳐 화장품 특화 클러스터를 지정하고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연구개발(R&D) 우선 참여 등 지원책을 강구한다는 계획이다.

 

 

 

 

 

 

 

 

 

 

 


 


김혜란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