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기능식품 부작용 신고 2232건

서흥(316건), 일동(183건), 씨엔에스팜(157건) 등

최근 3년간 건강기능식품(이하 건기식) 복용에 따른 부작용 및 이상사례 신고 접수가 2232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기동민 의원(더불어민주당, 서울 성북을)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받은건강기능식품 부작용 현황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건강기능식품 부작용 등 이상사례 신고 접수 건수는 2013696건에서 2018년 현재 662건으로 계속 늘어나고 있다.

2017년 건강기능식품 판매규모는 22374억원으로, 신고된 품목 수만 21500개에 달한다. 시장규모가 커짐에 따라 건기식 복용 후 이상사례 신고 건 수도 증가하고 있다. 연도별 이상사례 신고 건 수는 2016696, 2017874건으로 25.6% 증가했다. 2018년 현재 신고 건수는 662건으로 이미 지난해 수치의 절반을 웃돌아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3년간 건기식 이상사례 발생으로 접수된 업체는 총 216개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2회 이상 접수된 업체는 124개소로 전체 업체의 절반에 달하는 수치다. 지난 3년간 건기식 이상사례 신고 업체 중 1위는 서흥(316)으로 드러났다. 다음으로는 일동바이오사이언스(183), 한국씨엔에스팜(157), 코스맥스바이오(131), 이앤에스(124) 순이었다.

제품별로는 임산부 멀티비타민 엘레뉴(서흥)70건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유산균 건강기능식품 비오비천프리미엄(일동바이오사이언스) 67종근당비타민C1000mg(이앤에스) 51엘레뉴(서흥) 46수퍼바이오틱스프로바이오틱스(ORIFICEMEDICALAB) 40건이 뒤를 이었다.

최근 3년간 건강기능식품 복용 후 주요 이상사례 증상은 메스꺼움이 463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소화불량(456), 설사(355), 복통(340) 순이었다. 이외에도 두통, 피부발진, 수면불안 등의 증상이 확인됐다.

기동민 의원은 잘 먹고 잘 사는 건강·웰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수요 증가와 함께 부작용 이상사례도 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건강기능식품의 부작용으로 인한 소비자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계당국의 꾸준한 모니터링과 부작용 정보 공지 등 제도적 보완 장치가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이원식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