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여부가 지방흡입 수술 결정에 영향을 미칠까.
과거 한 대학 교수팀이 발표한 '미혼자가 기혼자보다 다이어트 시도율이 높다'는 연구 결과와는 반대로, 지방흡입 수술은 기혼자가 미혼자보다 더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지방흡입 수술 부위도 결혼 여부에 따라 다른 것으로 분석됐다.
비만 치료·지방흡입 특화 의료기관 365mc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7년 한 해 동안 전국 15개 네트워크 지점에서 진행한 신규 고객의 비만 진료 건수 2만 1642건(여성 1만9941건·남성 1701건) 중 지방흡입 수술 비율은 35%다.
비만 진료에는 지방흡입 수술은 물론, 지방흡입 주사 '람스(LAMS)'·카복시테라피·메조테라피 등 다양한 시술도 포함됐다.
이를 성별로 살펴보면, 비만 진료 건수 대비 지방흡입 수술 건수는 여성 고객 35.9%, 남성 고객 29.3%다.
여성의 경우 기혼자의 지방흡입 수술 건수(40.7%)가 미혼자(33.5%)보다 높았고, 남성의 지방흡입 수술 건수도 미혼자와 기혼자 각각 29.1%, 31.2%로 나타나, 남녀 모두 기혼자가 미혼자보다 지방흡입 수술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혼자가 미혼자보다 상대적으로 다양한 다이어트 방법을 시도했고, 이 때문에 직접적이고 효과적인 다이어트 방법인 지방흡입 수술을 택했을 것이라는 해석이다.
365mc병원 김하진 대표병원장은 "축적된 다이어트 경험은 지방흡입 수술이 노력과 시간 대비 효과적이라는 판단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기혼자의 생활 패턴상 시간과 개인의 노력이 더 많이 수반되는 식이요법, 운동 등의 다이어트는 부담스러울 수도 있기에, 지방흡입 수술을 택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지방흡입 수술 부위도 결혼 여부에 따라 달랐다. 여성의 경우 미혼자는 허벅지(30.2%), 팔(25.3%), 복부(23.6%) 순으로 가장 많았으며, 기혼자는 복부(40.7%), 팔(24.9%), 허벅지(17.1%) 등 역순%E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