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의료기기, 수출 다각화 전략으로 중동시장 '선점'

현장 상담액 2억 3793만 달러, 계약액 4366만 달러 성과 올려

한국 의료기기 기업들이 중동에서 새로운 수출 역사를 쓰고 있다.

한국의료기기공업협동조합(이사장 이재화)은 지난달 30일부터 2월 2일까지 두바이 국제전시센터에서 열린 '제42회 아랍헬스'(The 42nd Arab Health Exhibition and Congress)에 한국관을 구성해 참가했다.

전시회에는 중동 시장에서 호평을 받고 있는 디케이메디칼시스템㈜, ㈜포스콤, ㈜디알젬 등 디지털엑스레이 기업을 비롯해 수출다각화 차원에서 참가한 ㈜에이스메디칼, 수일개발, ㈜제노스, ㈜티디엠, ㈜대한랩테크 등 160여개의 기업들이 괄목할만한 수출 성과를 올렸다.

아랍헬스 2017은 올해 총 67개 국가에서 4000여개의 기업이 참가했고, 전시기간 중 한국관 방문객들만 총 2만3,460명이 방문해 중동 최대의 전시회로서의 이름을 확고히 했다.

올해 주최측은 전시회 기간 중 △3D Printing Zone(Hall 5) △Hands-on-Training(Hall 2) △Dealers & Distributor Zone(Hall 4) 등을 운영해 관람객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3D Printing Zone’은 3D 프린팅 최신 기술을 배우고 헬스케어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 지를 소개하는 자리로, 3D 프린팅 결과물을 살펴보고 직접 체험해볼 수 있도록 꾸며졌다.

‘Hand on Training’은 전시회 참여기업들이 자사 제품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기 위해서 마련한 공간으로, 올해는 GE헬스케어,  케어스트림, 니혼코덴 등의 기업들이 참여했다.

‘Dealers & Distributor Zone’은 주최측이 현지 딜러나 유통업체들이 원하는 기업을 효과적으로 찾기 위해 관심 품목을 올려놓고 서로 연락할 수 있도록 했다.

올해 한국관 참가기업들은 4일간의 전시회 기간 중 총 1만1,730건의 현장 상담을 진행해 전년대비 2~3% 향상된 성과를 이뤘다.

조합이 전시회 종료 직후 진행한 ‘성과 분석 및 만족도 조사’에 따르면 올해 한국관을 방문한 방문객은 총 2만3,460명이었고, 4일간 진행된 상담액은 2억 3,793만 달러, 계약액은 4,366만 달러를 올린 것으로 조사됐다.

이러한 수치는 전년대비 2~3% 향상된 수치다.

올해 한국 기업은 총 164개 기업이 참여해 전체 전시회 참가국 8위를 기록했다.

전시회에 참가한 국가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한 국가는 559개 기업이 참가한 중국이었고, 다음으로 독일(443개 기업), 이탈리아(208개 기업), 미국(205개 기업), 터키(189개 기업), 아랍에미레이트(184개 기업), 인도(183개 기업) 등이 그 다음을 이었다.

특히 중동 지역 수출 다각화를 위해 한국기업들이 환자감시장치, 이비인후과장비, 체외충격파치료기, 저온플라즈마멸균기 등 약 500여종의 다양한 의료기기를 선보였다.

전시 기업들은 사전 바이어 상담, 현장 바이어 매칭 등을 통해서 좋은 성과를 거뒀고 사후 계약 가능성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조합은 바이어 매칭 사업을 성공적으로 진행해 중동에 유력한 바이어 80여명을 초청해 한국관 참가 기업들과 미팅을 주선하는 성과를 올렸다.

전시회에 참가한 한 기업 담당자는 “사전에 조합에서 제공한 바이어 리스트를 이용한 사전 상담, 그리고 현장에서 진행한 바이어매칭 사업을 통해서 좋은 바이어와 만날 수 있었다”며 “이번에도 해당 전시품까지 현장에서 판매할 정도로 높은 성과를 거둘 수 있어 만족스럽다”고 말했다.

조합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바이어매칭 사업 등을 진행할 계획을 밝혔다.

조합 최석호 해외사업팀장은 “70년대 중동에서 한국 건설 기업들이 오일 머니를 벌어들여 경제를 일으켰다면 지금은 한국 의료기기 기업들이 그 선봉에 서고 있다"며 "조합은 한국 의료기기 기업들이 중동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올해 전시회에는 중동연합국가협의체(GCC, Gulf Cooperation Council)에 의료산업의 환경 변화를 알리는 컨퍼런스 등이 개최돼 큰 관심을 모았다.

중동 지역은 정부, 보험사, 지역 의료 센터 등이 효율적으로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지난 3년간 매년 8~12% 이상의 의료비증가가 발생하고 있다.

정부에서는 공공의료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을 마련해 경제적인 의료 시스템 구축을 위한 투자를 대대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특히 의료 취약 지역에 있는 여성, 어린이, 노인들을 위한 투자를 대대적으로 진행할 계획을 밝혀 관련 헬스케어 산업에 변화를 예고했다.

 

 

 


김아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