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적인 역류성 식도염 치료제인 PPI(프로톤펌프억제제)제제 가운데 에소메프라졸의 성장세가 거침없다. 지난해 시장 점유율은 35.8%에 달했다.
보건의료 분석평가사이트인 팜스코어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를 토대로 최근 6년간(2010년~2015년) PPI제제의 사용금액을 분석한 결과를 13일 밝혔다. 분석 대상은 란소프라졸, 판토프라졸, 오메프라졸, 라베프라졸, 에소메프라졸 등 5가지 약물로 의료기관 원내사용 및 원외 처방내역을 합한 금액이다.
분석 결과, 지난해 PPI제제 가운데 가장 많은 처방액을 기록한 약물은 에소메프라졸이었다. 이 약물은 전년(1028억원) 대비 3.7% 증가한 1066억원으로 집계됐다. PPI제제 전체 처방액이 지난해 2976억원으로 전년(3149억원) 대비 5.5% 감소했음에도 에소메프라졸은 유일하게 성장세를 이어갔다.
지난 2010년 8.3%였던 시장 점유율은 해마다 늘어 지난해에는 35.8%에 달했다. 시장 점유율 30%대를 처음 돌파한 전년(32.6%)에 비해서도 3.2%p 증가한 수치다.
에소메프라졸의 오리지널 제품은 다국적 제약사인 아스트라제네카의 '넥시움'이며 국내 토종 제품으로는 한미약품의 '에소메졸'이 대표적이다. 이 제품은 오리지널 개량신약으로 FDA 승인을 받은 바 있다.
두 번째 점유율이 높은 약물은 라베프라졸이었다. 지난해 처방액은 890억원으로 전년(919억원) 대비 3.2% 감소했지만 연평균 성장률 7.3%, 시장 점유율 29.9%로 여전히 건재했다.
반면 란소프라졸, 판토프라졸, 오메프라졸의 시장 점유율은 2010년 이후 감소추세로 지난해 점유율은 각각 15.5%, 11.5%, 7.3%에 그쳤다.
팜스코어 최성규 수석연구원은 "다국적 제약사의 오리지널 제품들이 장악했던 PPI제제 시장에서 국내 토종 제품들의 시장공세가 만만치 않다"며 "영업력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연간 100억원이 넘는 블록버스터 제품으로 성장한 사례도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