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가벼운 주부습진으로만 여겨지던 만성손습진이 주부들의 질환만이 아닌 광범위한 직업군에 나타나고 있었다.
대한접촉피부염 및 피부알레르기학회(회장 노영석)는 5일 조선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주부들이 주로 걸리는 만성손습진이 광범위한 직업군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대인관계의 문제는 물론, 우울증상과 수면장애 등 심각한 후유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실제로 대한접촉피부염 및 피부알레르기학회가 4~5월 한달 간 전국 13개 대학병원에 내원한 만성손습진 환자 353명을 조사한 결과, 주부가 24.9%(88명)으로 가장 많았으나 의료기관 종사자 23.5%(83명), 사무직 11.3%(40명), 학생 7.6%(27명), 음식 관련 직업 5.7%(20명), 기타(금속·기계업/미용사 등) 26.9%(95명) 등 광범위한 직업군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성손습진을 가벼운 주부습진쯤으로 치부해, 진단 받은 환자들 조차도 관리를 아예 안 하거나 드물게 관리하는 등 적극적으로 손 관리를 하지 않는 경우가 42.5%(150명)에 달했다.
또 전체 환자 중 6개월~1년 동안 만성손습진을 앓고 있는 경우가 43.1%(152명)로 가장 많았으며, 1년 이상 지속되는 경우는 9.3%(33명), 3년 이상도 3.4%(12명)으로 나타났다.
▲ 만성손습진 환자의 동반 피부질환.
특히 만성손습진 환자 80%가 아토피피부염 등 난치성 피부질환 동반하고 있었다.
만성손습진 외에 기타 피부질환을 앓는 경우는 아토피피부염(19.8%/70명), 접촉 알레르기(18.1%/64명), 백선 (9.6%/34명), 한포진(7.6%/27명), 건선(6.2%/22명), 기타 19.5%(69명)의 순이었다.
노영석 회장은 "만성손습진 환자 10명 중 8명은 아토피피부염을 비롯한 접촉 알레르기 질환 등 기타 난치성 피부질환을 함께 동반하고 있었다"며 "만성손습진은 특정 물질에 대한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원인 물질과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기도 하고, 아토피피부염과도 연관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가영 학술이사도 "기타 피부질환이 원인이 되는 경우 치료를 병행하면 대체로 손습진도 호전되지만, 많은 환자들은 필연적으로 손을 계속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증상이 오래 갈 수 밖에 없다"며 "때문에 추가로 손습진에 대한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하고, 무엇보다 만성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조기에 치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아토피나 알레르기와 같은 피부질환이 있는 경우, 손의 피부가 벗겨지거나 붉어지는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피부과 전문의에게 진단을 받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 대한접촉피부염 및 피부알레르기학회 노영석 회장(한양대병원 피부과)
▶대인관계 및 우울함 등 삶의 질 영향도
만성손습진은 환자들의 삶의 질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만성손습진 환자들의 76.2%(269명)는 만성손습진이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친다’고 답했으며, 69.4%(245명)는 만성손습진으로 인해 ‘우울하고 불안한 감정이 든 적이 있다’고 답했다.
이는 수면장애로까지 이어져 ‘잠을 제대로 못 잔 적이 있다’고 응답한 경우도 전체의 절반이 넘는 55.8%(197명)였다.
또한 80.5%(284명)는 ‘만성손습진으로 인해 손을 쥐는 행동에 어려움이 있다’고 답했으며 실제 ‘직장에서 불이익을 받은 적이 있다’고 답한 경우도 46.2%(163명)에 달했다.
이러한 만성손습진으로 인한 삶의 질은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부정적인 비율이 더 높았다.
'대인관계에 영향이 있다'(여성 79.2%/171명, 남성 75.4%/98명), '손을 쥐는 행동에 어려움이 있다'(여성 84.5%/186명, 남성 75.4%/98명), '불안하고 우울한 감정이 든 적이 있다'(여성 79%/166명, 남성 62.2%/79명), '잠을 제대로 못 잔 적이 있다'(여성 61.2%/128명, 남성 54.3%/69명) 등의 응답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더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조사 대상 환자 31.4%(111명)은 손습진이 ‘항상 심하다’고 응답했는데, 이 경우도 여성의 비율이 더 높았다(여성 37.6%/80명, 남성 24.6%/31명).
노 회장은 "만성손습진의 치료와 예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일상생활에서 손의 자극을 줄이는 생활습관이 중요하다"며 "의학적인 치료는 증상에 따라 기본적인 관리 및 생활습관 교정과 국소 스테로이드나 면역조절제 등의 국소치료, 항히스타민제나 레티노이드 수용체 등 전신 치료를 진행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학회는 만성손습진을 예방하기 위해 ▲적극적인 치료를 통해 질환 관리 ▲예방 위해 평소 손을 씻고 난 후 손가락 사이를 잘 건조 ▲비닐장갑 안에 면장갑 착용 ▲비누와 세제 노출이 많은 경우나 손을 자주 씻어야 하는 직업은 되도록이면 뜨거운 물을 사용하지 말고 15분 이내로 물과의 접촉을 줄이는 등 손 습진에 걸리지 않도록 생활습관을 교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