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화이자제약(대표 이동수)이 최근 개최한 ‘2012 IDIS(Infectious Disease Summit)’ 심포지엄에서 칸디다혈증 치료의 최신지견과 함께 아니둘라펀진(제품명 에락시스)의 효과와 역할을 조명했다.
‘칸디다혈증 최선 치료에 대한 최신지견’이라는 주제로 진행된 세션에서 연자인 전남의대 박경화 감염내과 교수는 “국내 칸디다혈증의 심각성이 커지고 있는 만큼 빠른 진단과 적절한 항진균제 선택이라는 칸디다혈증 치료 원칙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시점”이라고 밝히며 칸디다혈증의 치료대안 중 하나로서 아니둘라펀진의 효과에 대해 발표했다.
칸디다혈증으로 인한 국내 사망률은 무려 47.9%로 10~36% 정도인 미국보다 높았다. 패널로 참석한 가톨릭의대 서울성모병원 이동건 감염내과 교수는 “외국의 침습성 칸디다증 사망률은 35% 정도인데, 국내는 이 보다 높은 편이다. 항진균제의 종류, 초기 치료시기, 카테터 제거 여부나 진단의 지연 등에 따라 치료 성공률 및 사망률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칸디다 감염 치료제는 암포테리신 B, 아졸 계열 치료제, 에치노칸딘 계열 치료제로 구분되는데 국내에서는 보험급여가 인정되는 암포테리신 B나 아졸 계열의 플루코나졸 처방률이 높다.
해당 의제의 연자인 박경화 교수는 “칸디다혈증의 가장 중요한 원칙은 빠른 진단과 적절한 항진균제 선택”이라고 강조했다.
칸디다혈증의 치료가 지연돼 패혈증성 쇼크가 나타날수록 사망률이 증가하기 때문에 일단 혈액 검체에서 효모(yeast) 형태의 진균이 확인되면 즉시 항진균제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또 침습적 감염의 병소에서 △칸디다 글라브라타(C.glabrata)나 흔치 않은 칸디다균종이 분리되거나 △항진균제 예방요법을 받는 환자에서 균이 분리된 경우 △항진균제 치료 실패 또는 아졸계 항진균제에 대한 내성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항진균제 감수성 검사가 권고된다고 전했다.
좌장으로 참석한 백경란 교수는 “현장조사에 따르면 참석한 국내 감염관리 전문가의 35.5%는 2차 치료제로써 에치노칸딘 계열 약물사용 경험이 있으며, 29%는 이 계열 약물을 타약제의 부작용을 경험한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처방이유로 대부분 기존 약제의 치료실패(37%)와 해당약제의 우수한 약효(33.3%), 안전성과 내약성(25.9%)을 꼽았다”고 밝혔다.
박 교수는 “항진균제 선택 시 현실적인 제약이 있지만, 아졸계 항진균제에 대한 내성 의심여부, 질환의 중증도, 동반질환 등 각 환자 별로 상황 및 조건을 고려해 현명한 처방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 의미에서 아니둘라펀진은 대상의 제한이나 부작용이 적어 적합한 치료 대안이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