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서론 월경을 하는 여성의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생리통을 경험했을 것이다. 약하게 느끼느냐 심하게 느끼느냐 그 차이가 있을 뿐이다. 심한 사람들 중에는 직장이나 학교를 쉬어야 될 정도로 통증이 크지만, 더욱 극심한 사람은 기절을 하여 앰뷸런스에 실려 병원 응급실로 가는 경우도 있다. 이렇게 극심한 통증을 서금요법으로 사전에 자극해 준 결과 통증이 경감되거나 해소되어 좋은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Ⅱ.본론 1.생리통이란 생리통은 고통스러운 월경이란 뜻이다. 초경을 전후해서 월경곤란증을 경험하는데 통증이 경련성이나 진통 같은 성격을 지니며 하복부와 치골상부에 국한되기도 하지만 하복부와 하지부로 방산되기도 한다. 여기에 한 가지 이상의 전신증상이 수반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위장관계, 집중력 감퇴, 식욕부진, 구토, 설사, 두통, 신경과민, 어지럼증, 안면홍조 등이 나타난다. 이런 증상들은 나이가 들면 저절로 호전되어 첫 분만 후 80~90%가 완화된다. 25세 이후에 통증이 시작되면 자궁에 문제가 생겨서 그런 경우가 많으므로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
2. 종류 1)원발성 월경곤란증:배란주기에 일어남 2)기질적 월경곤란증:배란주기에 일어남 3)속발성 월경곤란증:무배란 주기에 일어남 (1)경련성 월경곤란증:20분 정도의 간격으로 신통과 같은 통증. 자궁, 난소의 신경분포에 국한, 골반부위, 허리, 대퇴부 안쪽 (2)울혈성 월경곤란증:월경시작과 함께 통증이 없어짐. 유방, 머리, 허리, 관절, 근육 등의 통증
3.원인인자 1)원발성 월경곤란증 (1)자궁근 활성 자궁은 수축이 규칙적이냐 불규칙적이냐에 따라 통증을 느낄 수 있다. 자궁근 수축은 난소에서 분비하는 성호르몬에 의해서 조절된다. (2)자궁협부 장애 자궁협부의 긴장도가 보통 때보다 증가되어 월경혈의 유출에 장애를 준다. (3)혈관경련 자궁내막 동맥의 경련에 의해서 자궁근의 경련이 유발돼 통증이 일어난다. (4)체질적 쇠약 빈혈, 체중감소, 당뇨병, 만성질환, 피로, 정신적 긴장감 (5)정신적 인자 정서적으로 불안하거나 신경안정이 안된 사람에게 일어나기 쉽다. 2)속발성 월경곤란증 (1)경련성 월경 곤란증 점막하 자궁근종, 월경과다, 자궁 내막조직이 벗겨져 빠져 나갈 때 자궁경관 협착으로 경련이 생기며 자궁내 피임장치 사용으로 경련성 월경곤란증이 생기기도 한다. (2)울혈성 월경 곤란증 골반 장기의 질환에 의해서 골반내 울혈의 결과로 하복요통이 생김. 자궁후굴이 되어서 질벽과 자궁경관에 울혈이 생겨 분비물이 많이 모여 장애가 생기기도 하며 자궁근중, 자궁내막증으로도 생긴다. (3)폐쇄성 월경곤란증 선천성:폐쇄성 처녁막, 질횡막, 자궁의 선천성 기형 후천성:자궁경부의 전기 소작 후 자궁경관 유착, 유산 후 자궁내막 유착, 결핵성 자궁내막염. 3)동양의학적 원인 생리통은 조혈작용의 부조화에 의해서 생긴 것이다. (1)기혈의 조체에 의해 맥락이 잘 통하지 않아서 생긴다 (2)찬바람, 비를 맞거나 습한 곳에 앉아 있으면 한습이 하초를 손상시켜서 기혈이 울체되어 운행이 안된다. (3)비위가 허약한 자나 큰 병을 앓거나 만성병을 앓고 있으면 기혈의 화원이 부족하여 생긴다. (4)방실 부절제, 조혼, 다산, 간신(肝腎)이 허약해져서 생기기도 한다. (5)신체구조의 미발달로 인해서 전체적인 대사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서 생기기도 한다.
4. 시술 1)양의학적 시술 질병이 있는 자는 질병을 시술하고, 생리에 대한 불안이 있는 자는 생리에 대한 이해를 돕고 적당한 운동을 하게하며 진통겵平ㅑ┯?사용할 때도 월경전일과 월경시 투여한다. 원인에 따라서 약물요법과 수술요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2)동양의학 간기(肝氣)가 울혈되면 간을 편하게 해주고, 한습(寒濕)에 의한 것은 몸을 따뜻하게 하면서 습기를 제거시키고, 기혈이 부족하면 양기 보혈을 시켜준다. 간신(肝腎)이 부족하면 간신을 보익(補益)시켜 주는 약제를 사용한다. 3)서금요법 평소에 항상 기본방과 F6에 수지침용 뜸(서암뜸)을 떠서 기혈의 소통을 원활하게 해준다. 심한 경우는 상응점 A4~8, F6에 수지침용 침(서암침, T침)을 사용하여 자침한다. 아주 극심한 통증에는 J1, D1, H1, L1에 사혈한다. (1)양실증:소장정방+간승방+중초기본방 (2)신실증:심정방+소장승방+중초기본방 (3)음실증:소장정방+신정방+중초기본방
임상사례1) 학교에 가는 도중에 생리통이 심해서 일어날 수가 없을 정도로 통증이 왔다. 옆에 있던 친구가 병원에 가야 한다고 했다. 응급처치만 하고 돌아와서 계속 수지침용 뜸(서암뜸)을 기본방에 뜨고 H1, L1, J1에다 사혈을 했다. 삼일체질:좌 양실증, 우 신실증 처방:좌 신정방+소장정방+비정방, 우 심정방+소장승방 A3,8,12,16에 수지침용 봉(서암봉)을 붙였더니 호전 됐다. <그림1 참조>
임상사례2) 줄넘기만 해도 소변이 찔금찔금 나오고 생리때만 되면 소화가 안돼서 고생을 했다. 삼일체질:좌 신실증, 우 양실증 처방:좌 심정방+소장승방+삼초승방, 우 대장승방+비정방+간승방 A3????2, E8, I2, H2, I38, B23~27 <그림2 참조>
Ⅲ. 결론 서금요법(서암봉, 서암뜸) 자극을 하면 기혈의 소통이 잘되어서 통증이 사라지게 된다. 아주 극심한 통증은 사혈요법을 사용하여서 막힌 기혈을 소통시키고, 장부조절을 해줌으로써 나중에까지도 통증이 호전되게 된다. 생리통이 있는 사람들은 통증이 시작되기 전에 미리 서금요법(서암봉, 서암뜸)으로 자극을 하면 생리통에 효과가 우수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