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숙 학술위원
I. 서론
염파요법은 자신이나 타인, 원ㆍ근거리의 환자들의 건강 증진과 회복, 건강 이상을 조절할 수 있는 자극법으로 상대방의 건강을 회복해 달라는 기도를 한 다음, 서금기맥혈 손모형도나 금경금혈모형도에 염파봉을 꽂거나 기감요법으로 자극을 줘 건강을 회복시키는 방법이다.
본 논문은 어깨 통증 환자에게 염파요법을 자극해 통증 완화에 놀라운 효과가 있었기에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고, 또한 대뇌중추를 자극해 자율신경ㆍ내분비 호르몬까지 조절하는 염파요법의 우수성을 임상 사례를 통해 자세히 연구해 봤다.
II. 본론
1. 견통의 원인
어깨 통증을 유발하는 원인은 다양한 질병들이 포함돼 뼈나 연골보다는 근육이나 인대ㆍ힘줄 등 연부조직의 문제로 나타난다.
컴퓨터, 반복적인 단순한 수작업 등으로 오는 통증, 스포츠나 운동 등의 육체 활동에 따른 견봉쇄골관절 손상, 관절의 활막에 염증이 생기는 관절낭염, 어깨 힘줄 부분 파열과 더불어 퇴행성의 증가나 근막의 경직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어깨 통증이 발생하게 된다.
그 외에도 목의 문제로 어깨 통증이 있을 수 있고, 심장 질환이나 호흡기ㆍ복부 질환이 발생했을 때에도 어깨에 연관통을 느낄 수 있다.
(1) 자세
① 의자에 오래 앉아 있을 때 - 학생, 사무직, 직장인들이 잘못된 자세로 장시간 업무
② 컴퓨터할 때 - 모니터의 위치를 눈높이와 맞도록 조절하고 키보드는 팔꿈치가 90도 이상 구부러지지 않도록 조절
③ 한 자세로 오랫동안 앉아 있을 때 - 근육이 경직되고 스트레스(2) 무거운 가방을 매거나 발에 맞지 않는 구두
(3) 몸이 냉하고 혈액순환이 안 되는 경우
(4) 심한 스트레스, 나쁜 생활 습관
2. 어깨관절 주위의 구조와 기능(근육ㆍ인대의 수가 많은 복잡한 구조ㆍ그림 1)
(1) 5개의 어깨관절(어깨 복합체)
① 흉쇄관절 : 흉골과 쇄골이 만나는 관절
② 견쇄관절 : 견봉과 쇄골이 만나는 관절
③ 견봉하공간 : 견봉 아래 공간
④ 견흉관절 : 견갑골과 흉추가 만나는 관절
(2) 운동 시 어깨관절 유지하는 구조물
① 정적 요소 : 관절구조, 관절와, 인대
② 동적 요소 : 회전근개, 상완이두근의 장두, 어깨 주위의 근육(인체의 관절 중 운동 범위가 가장 큰 어깨관절은 서로 협동해 팀을 이룸)
<다음호에 계속>